대만 요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만 요리는 대만에서 먹을 수 있는 다양한 요리를 포괄하는 용어로서, 넓은 의미로는 대만의 향토 요리, 퓨전 요리 등을, 좁은 의미로는 푸젠계 민난인의 요리인 '타이차이'를 지칭한다. 대만 요리는 일제강점기 시대에 형성되었으며, 중국 각 지역의 요리 전통과 일본 요리의 영향을 받았다. 대만은 풍부한 식재료를 바탕으로 다양한 요리를 선보이며, 아침 식사, 간식, 야시장 음식 등 다채로운 종류의 음식을 즐길 수 있다. 최근에는 지속 가능한 식재료와 지역 음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퓨전 요리와 고급 요리도 발전하고 있다. 대만 요리는 세계적으로 인지도를 얻으며, 대만 요리사들의 활약도 두드러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대만 요리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한국어 | 타이완 요리 |
간체자 | 台湾料理 |
번체자 | 臺灣料理 |
병음 | Táiwān liàolǐ |
백화자 | Tâi-oân liāu-lí |
광둥어 | Toi4waan1coi3 |
![]() | |
요리 종류 | |
주요 특징 | 다문화적 영향, 해산물, 열대 과일, 쌀 |
역사 및 문화 | |
기원 | 푸젠 요리 광둥 요리 객가 요리 일본 요리 |
특징 | 다양한 문화의 영향을 받아 독특한 풍미를 지님. |
역사 | 타이완의 역사적 배경과 다양한 문화 교류를 반영함. |
문화적 의미 | 타이완 사람들의 삶과 정체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임. |
주요 식재료 | |
해산물 | 다양한 종류의 해산물 사용 신선한 해산물을 활용한 요리 발달 |
열대 과일 | 파인애플, 망고, 구아바 등 다양한 열대 과일 사용 디저트, 음료 등에 활용 |
쌀 | 주식으로 섭취, 다양한 요리에 활용 |
대표적인 요리 | |
면 요리 | 우육면 아게이 딴仔麵 |
밥 요리 | 루러우판 |
탕/국 요리 | 굴전 |
기타 요리 | 샤오룽바오 취두부 펑리수 |
지역별 요리 | |
북부 | 딘타이펑 (샤오룽바오) |
남부 | 단맛이 강한 요리 |
동부 | 원주민의 전통 요리 |
서부 | 다양한 문화의 영향을 받은 요리 |
식사 문화 | |
일반적인 식사 형태 | 다양한 요리를 함께 나누어 먹는 문화 길거리 음식 문화 발달 |
예절 | 젓가락 사용 예절, 어른 먼저 식사 |
참고 자료 | |
웹사이트 | A taste of Taiwan, from comforting noodles to spicy broths (National Geographic) 《台灣菜的文化史:食物消費中的國家體現》 - 台灣醒報 Awakening News Networks 교통부 관광서 - 역사 변천 Taiwanese Cuisine: A Legacy of Culinary Fusion (WildChina) |
2. 정의
대만에서 "대만 요리"라는 단어는 넓은 의미와 좁은 의미 두 가지로 나뉜다.[142] 넓은 의미의 "대만 요리"는 대만에서 먹을 수 있는 여러 가지 향토 요리 및 대만식 퓨전 요리 등을 모두 아우르는 말이다. 좁은 의미의 "대만 요리"는 '''타이차이'''(臺菜)라고도 부르며, 대만에 사는 푸젠계 민난인의 요리만을 가리킨다. 민난인은 현재 대만 인구의 70%를 차지하는 민족이다.[142]
국립대만도서관과 국립대만사범대학의 연구에 따르면,[143][144] 현대의 대만 요리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 의미로 나뉜다.
- '''광의의 대만 요리'''(臺灣菜, 타이완차이): 대만에서 먹을 수 있는 모든 향토 요리, 원주민 요리, 그리고 외국 요리를 대만식으로 재해석한 것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 '''협의의 대만 요리'''(臺菜, 타이차이): 주로 대만에 사는 민난인의 요리를 가리킨다. 민난인은 중국 푸젠성에서 이주해 온 사람들로, 현재 대만 인구의 약 70%를 차지한다.
대만 요리는 작게는 매우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크게 나누면 다음 5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 '''고전 타이차이(古典臺菜)''': 일제강점기에 형성되었고, 주로 고급 레스토랑이나 공식적인 자리에서 제공되었으며, 쇼와 천황이 황태자 히로히토였을 무렵 대만에서 먹은 회석 요리에 유래한다.[142] "자우자차이(酒家菜)"나 "자우루차이(酒樓菜)"라고도 한다.[145]
# '''자창차이(家常菜)''' 및 '''샤오츠(小吃)''':
#* '''자창차이'''는 "가정 요리"를 의미하며, 대만 섬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대대로 가정에서 일상적으로 먹어 온 간단한 요리를 가리킨다.
#* '''샤오츠'''는 "야시장이나 포장마차에서 팔리는 간식"을 가리킨다.
# '''빤줘차이(辦桌菜)''': 신에게 기도하거나 활기찬 축제, 결혼식, 장례식 등 특별한 자리에서 제공되는 요리이다.
# '''저디화된 중화요리(在地化的中華料理)''': 대만 현지에서, 대만 사람의 기호에 맞춰 재해석된 중화요리이다.
# '''족군 특색채(族群特色菜)''': 원주민 요리와 객가 요리 등 대만의 향토 요리를 통틀어 말한다.
3. 역사
대만 요리의 역사는 이주와 식민화 패턴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지역 및 국제적인 대만 요리와 그 역사는 정치적으로 논쟁적인 주제이다.[2][3] 대만과 중국 간의 긴장된 정치 관계 또한 역사를 복잡하게 만든다.[7]
대만 요리의 역사는 대만 섬 원주민들의 요리에서 시작되었다. 16세기에 푸젠성과 하카계 사람들이 대만으로 이주하여 그들의 요리를 가져왔다. 이러한 유산 때문에 대만 요리는 종종 중국 지역 요리의 일부로 간주된다. 초기 유럽의 영향은 네덜란드, 스페인, 포르투갈에서 비롯되었다.[5]
일본 통치 기간 동안 대만 요리는 일본의 일본 요리와 양식의 강한 영향을 받았다. 일본 통치 시대에 도시락(벤토), 사시미, 주먹밥, 미소시루와 같은 일본 요리와 식문화가 대만 요리에 도입되었다.
2차 세계 대전 후, 중국 국민당의 대만으로의 퇴각은 푸젠성 또는 중국 남동부 지역 이외의 많은 중국 요리를 가져왔다. 그 후, 특히 광둥, 차오산, 상하이, 쓰촨, 베이징의 요리는 대만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게 되었다.
대만 요리사 푸페이메이(傅培梅)에 따르면, 진정한 중국 요리 전통은 대만에서 제대로 보존되었다고 한다. 푸페이메이의 세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이러한 진정성에 대한 주장은 국민당의 중국 민족주의 정치 메시지 때문이었는데, 이는 요리를 훨씬 넘어섰다.[6] 대만에서 지역 중국 요리의 진정성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7]
대동 전기 찜기는 1960년대에 출시되어 대만 가정과 식당 주방의 주요 기구가 되었다.[9] 20세기 동안 푸드코트의 널리 보급은 보다 전통적인 노점상과 판매자들을 공식화했다. 푸드코트는 대만 전역에 확산된 쇼핑몰과 쇼핑센터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2002년 대만의 세계무역기구 가입은 대만 농민들이 세계 시장과 경쟁하도록 강요했다. 많은 농민들은 주요 작물에서 주로 국내 소비를 위한 고급 및 틈새 상품으로 전환하여 대응했다. 농촌 관광 또한 더욱 광범위하게 채택되었으며, 농장 방문객들에게 농장 제품을 사용한 요리를 제공하거나 조리 방법을 가르치는 경우가 많았다.[10]
21세기 초, 지속 가능성과 지역 음식에 대한 아이디어가 대만 요리 및 농업계에서 더욱 두드러졌다.[11] 음식의 역사를 이해하고 원주민 식문화를 주류 대만 요리에 통합하는 데 더욱 중점을 두었다.[7]
대만에는 불교와 일관도와 같은 종합적인 종교의 영향으로 다양한 채식 요리가 있는 채식 전문 식당이 흔하다.[15] 이러한 채식 식당은 뷔페식, 무게 단위 계산 방식, 일반 메뉴 주문 방식 등 다양한 형태를 띤다. 채식 식당과 음식은 종종 왼쪽을 향한 만자(卍) 표시로 표기된다.[34]
21세기에 들어서 대만에서는 특히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종교적 이유가 아닌 채식주의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동물 복지, 건강, 환경 지속 가능성, 기후 변화에 대한 우려로 인해 비건(veganism)도 증가하고 있다.[35] 대만의 전통 채식 제품 회사들도 급성장하는 인조 고기 시장으로 진출했다. 대만의 전통적인 인조 고기 요리법 덕분에 대만 기업들은 경쟁력을 확보했고, 현재 인조 고기 부문의 시장 선두주자 중 하나가 되었다. 대만 기업들은 유럽, 북미, 동남아시아 시장을 중심으로 상당한 수출을 하고 있다. 최대 인조 고기 생산 업체 중 하나인 홍양푸드(Hung Yang Foods)는 매출의 80%를 해외에서 올리고 있으며, 호주 슈퍼마켓의 90%에서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36]
대만의 음식과 음식 문화는 매우 다양하며 한족의 이주로 인해 큰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대만 음식 문화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대만 원주민의 음식 문화이다. 원주민 인구는 대만 전체 인구의 약 1.5%에 불과하지만,[58] 그들의 음식과 조리법은 일반적인 중국식 영향을 받은 요리와 구별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원주민의 식단은 자연에 크게 의존한다. 풍부한 식물과 야생 동물이 있어 원주민들은 자연스러운 수렵 채집인이었다. 기본적으로 원주민들이 먹는 음식의 대부분은 해안 지역이나 산악 지역에 살았는지 여부와 같이 그들의 환경에 따라 달랐다.[59] 아미족, 아타얄족, 사이샤트족, 부눈족과 같은 부족들은 사냥할 수 있는 것은 사냥하고, 재배할 수 있는 것은 채집한다. 반면에 야미족과 타오족과 같은 부족들은 생선을 주된 식량원으로 삼는다. 대부분의 음식은 기장, 타로, 고구마, 야생 채소, 멧돼지와 쥐와 같은 사냥감으로 구성되었다. 이는 쌀과 닭고기를 주식으로 하는 한족의 주요 식단과 대조적이다.
산악 지역에 사는 사람들의 사냥감 고기에는 사슴과 부눈족이 별미로 여기는 날다람쥐 내장이 포함된다. 또 다른 것은 썩기 시작한 '구더기 든 고기' 즉 '썩은 고기'인데, 이것은 바비큐를 하거나 튀긴 후 마늘과 생강으로 양념하고 매운 소스와 함께 제공된다.[60]
아미족은 고기 외에도 많은 채소를 먹었는데, 소가 먹는 것은 사람도 먹을 수 있다는 믿음 때문이었다. 주로 야생 동물을 사냥하는 부눈족은 돌판에 구운 돼지고기, 멧돼지, 사슴, 돼지 통구이를 먹었다. 타이둥 해안에 위치한 야미족은 '날치'(또는 알리방방)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생선을 먹었다. 특선 요리로는 쌀과 강 생선, 야생 채소를 섞어 큰 대나무 통에 담아 제공하는 것이 있다.
기장은 주식일 뿐만 아니라 항상 술로 만들어졌다. 마시는 용도 외에도 기장주는 축제, 출산, 결혼식에서 제물로 사용되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기장주는 모두 원주민의 가정에서 만들어진다. 찹쌀은 물에 담근 후 나무찜기에 넣는다. 식힌 후 쌀을 물에 넣었다가 꺼내 쌀 누룩과 섞는다. 큰 항아리에 4~5일 동안 놓아둔 후, 쌀을 체나 쌀주머니에 넣으면 알코올 성분의 액체가 떨어져 보관된다.
대만 원주민 요리에서 또한 중요한 것은 다년생이고 관리가 쉬운 고구마와 타로이다. 전형적인 묘목 식물이 아닌 뿌리 채소의 재배가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신베이시 관음산 다펀컹 유적지에서 기원전 4천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두 가지 채소 모두 다용도로 사용되어 보통 삶거나 쪄서 그 자체로 먹거나 수프와 스튜의 재료로 사용되었다. 고도의 농업 기술이 필요 없었기 때문에 타로와 고구마는 농사짓기에 가장 좋은 작물이었다. 캐나다 선교사 조지 맥케이는 19세기 대만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고구마 덩이줄기는 3월에 심는다. 약 6주 후에 포도나무를 20cm 길이로 잘라 구멍에 심으면, 이 덩굴에서 덩이줄기가 자라 6월 말쯤에 수확한다. 7월에 비슷한 방법으로 두 번째 작물을 심어 11월에 수확한다." [61] 고구마와 타로의 영향은 엄청났다. 이들은 거리, 야시장, '미트 프레시'(鮮芋仙)와 같은 성공적인 음식 체인점에서 여전히 널리 사용되고 있다.
냉장고, 가스레인지, 오븐과 같은 현대적인 조리 도구가 없었기 때문에 원주민들은 음식을 준비하는 다른 방법을 사용했다. 사냥한 고기를 가져오면 기장주나 소금으로 고기를 보관했다. 또 다른 조리법은 돌을 불에 달구어 용기에 특정 고기와 해산물과 함께 넣어 돌의 열로 익히는 것이었다. 음식은 주로 찌거나 삶거나 굽는 방식으로 만들어져 풍미를 더하면서도 원래의 풍미를 보존했다. 이것은 볶고 끓이는 기술을 채택한 한족과 대조적이다.[62] 고기는 대나무 꼬챙이에 꿰어 불에 구웠다.
대만 원주민 요리는 한족 영향을 받은 요리와는 다른 독특한 풍미를 지니고 있다. 산후추(중국어로는 ''산후자오'', 아타얄족 용어 ''maqaw''에서 유래한 ''magao'')가 그러한 독특한 재료 중 하나이다.[63]
2000년에 CIP와 국립가오슝관광대학에서 발행한 요리책에는 주요 대만 원주민 부족의 음식이 나와 있으며, 원주민들이 자연 식품에 대한 충실함과 열정을 보여준다.
- 아미족: 알리봉봉(잎에 싸인 고기와 찹쌀 만두)(阿里鳳鳳); 야생 채소 볶음
- 아타얄족: 돌판 구이(石板烤肉); 랑잉(찐 찹쌀떡)(朗應)
- 부눈족: 부눈 기장 떡(布農粿); 기장밥(小米飯)
- 파이완족: 기장 치나푸(기장과 돼지고기 경단)(小米奇那富); 찐볼레(수수와 돼지고기 만두를 바나나 잎에 싼 것)(金伯樂)
- 푸유마족: 이나페이 산악 떡(以那馡山地粿); 바질을 곁들인 튀긴 야생쥐(九層野鼠)
- 루카이족: 치나부(타로와 고기 만두)(奇那步); 구운 멧돼지
- 사이샤트족: 파파야를 곁들인 구운 멧돼지(木瓜拌山豬肉); 야생화 모듬(野花拼盤); 카사바와 갈비탕(樹薯排骨湯)
- 초우족: 대나무 밥(竹筒飯); 바나나 케이크(香蕉糕)
- 야미족: 삶은 타로와 게(芋泥加蟹肉); 구운 생선; 찐 말린 생선(蒸魚乾)
1990년대 중반부터 대만 원주민 요리에 대한 관심이 언론에서 주목받기 시작했으며, 이는 대만 원주민 보호 및 인정을 위한 정부의 노력과 함께 발전했다. 타이베이에는 원주민 요리의 정신을 이어가는 식당들이 있다. 이러한 식당의 요리사들은 종종 현대적인 입맛에 맞게 전통 레시피를 수정하지만, 천연 식재료에 대한 강조는 여전히 남아 있다. 원주민위원회와 관광국이 후원하는 연례 원주민 건강 요리 및 혁신 음료 경연대회는 전통 원주민 재료를 건강한 방식으로 창의적으로 활용하는 참가자들에게 상금을 제공한다. 가오슝시와 같은 지방 정부에서도 이와 유사한 경연대회가 열립니다. 타이난에서는 원주민들이 차하무 원주민 공원에서 음식을 판매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추세는 모두 대만 원주민 요리의 훌륭한 맛을 알리기 위한 것이다.[60]
계엄령 시대 동안 원주민 문화는 정부에 의해 억압되었지만, 원주민 요리는 대만의 국가 정체성의 일부가 되었다.[7]
실라우(Silaw)는 아미스족의 절인 돼지고기 요리이다.[65]
원주민 요리에서 야생 채소의 중요성이 점점 더 인정받고 있다. 야생 채소는 숲에서 발견되는 야생 식물과 집 정원에서 재배되는 같은 식물 모두를 가리킨다.[66] 핑둥 현 시골 지역에 있는 리나리(Rinari)는 전국적으로 중요한 원주민 식당으로, 20석의 자리는 예약하기가 매우 어렵기로 악명이 높습니다. 리나리는 주로 루카이족 요리를 제공한다.[67]
4. 특성
대만 요리는 대만에서 먹을 수 있는 여러 가지 향토 요리 및 대만식 퓨전 요리 등을 일컫는 넓은 의미와, 푸젠계 민난인의 요리만을 가리키는 좁은 의미(타이차이)로 나뉜다.[142] 일제강점기에 "대만 요리"라는 말이 생겨났는데, 당시에는 대만 섬 안에 존재하는 모든 요리를 통틀어 부르는 말이었다.[142]
국립대만도서관과 국립대만사범대학의 연구에 따르면,[143][144] 현대 대만 요리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 '''광의의 대만 요리(타이완차이)''': 대만에서 먹을 수 있는 모든 향토 요리, 원주민 요리, 외국 요리를 대만식으로 재해석한 것을 통칭한다.
- '''협의의 대만 요리(타이차이)''': 대만에 사는 민난인의 요리를 주로 가리킨다. 민난인은 중국 푸젠성에서 이주해 온 사람들로, 현재 대만 인구의 약 70%를 차지한다. 객가인과 외성인의 요리는 타이차이에 포함되지 않는다.
대만 요리는 크게 5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 '''고전 타이차이(古典臺菜)''': 일제강점기 고급 레스토랑이나 공식적인 자리에서 제공되던 요리로, 쇼와 천황이 황태자 히로히토 시절 대만에서 먹은 회석 요리에서 유래한다.[142][145]
# '''자창차이(家常菜)''' 및 '''샤오츠(小吃)''':
#* '''자창차이''': 가정에서 일상적으로 먹는 간단한 요리를 의미한다.
#* '''샤오츠''': 야시장이나 포장마차에서 파는 간식을 가리킨다.
# '''빤줘차이(辦桌菜)''': 기도, 축제, 결혼식, 장례식 등 특별한 자리에서 제공되는 요리로, 돼지고기 요리와 정진 요리가 함께 제공된다.
# '''저디화된 중화요리(在地化的中華料理)''': 대만 사람의 기호에 맞춰 재해석된 중화요리이다. 일본의 일식 중화요리처럼 본토 중국 요리와는 다르며, 독자적인 양념이 많다.
# '''족군 특색채(族群特色菜)''': 원주민 요리와 객가 요리 등 대만의 향토 요리를 총칭하며, 지역성이 강하다.
중화민 வெளியுற부(中華民国外交部)의 공식 사이트에 따르면,[146] 대만은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처럼 이민과 개척자가 인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지역이다.[147] 한족 이민자들이 중국 대륙의 요리를 대만 전역에 전파했으며, 특히 푸젠 요리와 일부 하카 요리가 대만 요리의 기초가 되었다. 인구가 적은 대만 원주민의 요리는 섬 전체로 퍼지지 않고 지역별 향토 요리로 남았다.
대만 요리에서 중국 요리는 중국 대륙 각지의 특징을 가지며, 샤먼, 취안저우, 장저우에서 온 푸젠 요리가 대만 원주민 요리와 융합하여 대만 요리의 기원을 형성했다.[146] 광둥성에서 이주한 객가인 등의 영향으로 더욱 다양한 중화 요리가 대만 사회에 스며들었다. 제2차 세계 대전과 국공 내전 이후 국민당과 함께 대륙 각지의 병사와 요리사들이 대만으로 건너와 베이징, 상하이, 쓰촨 등 대륙 각지의 요리가 전해졌다.[147]
1895년부터 1945년까지 50년간의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일본 요리가 대만 민간에 널리 퍼졌다.[148] 오뎅, 덴푸라, 사시미, 스시,[148] 미소시루,[149] 카레라이스,[150] 사케[151] 등이 널리 사랑받고 있다. 대만의 스시는 니기리즈시 외에 이나리즈시나 후토마키가 일반적이며, 스메시는 식초 간이 약하다.[148] 가리비, 새우, 브로콜리, 미역 가루를 넣은 대만식 가쓰오부시도 있다. 대만 가정에서는 중식 주요리에 스시, 사시미, 덴푸라, 미소시루 등 일본식 부찬이나 국을 함께 먹는 것이 일반적이다.[148]
이처럼 복잡한 역사적 배경 속에서 중국 대륙과 일본에서 온 요리사들은 대만의 식재료를 활용하여 조리법을 발전시켰고, 대만인들은 이를 흡수하여 독자적인 음식 문화를 형성했다.[152]




대만 요리는 중국 요리보다 달고, 일본 요리보다 덜 짜다.
;중국 요리와의 차이점: 단맛
:자극적인 양념을 많이 쓰는 중국 요리와 달리, 대만 요리는 섬세하고 담백한 맛이 주류이며, 볶음 요리를 제외하고는 기름기를 줄인다. 여러 명이 한 상에 둘러앉아 천천히 먹는 중국 요리와 달리, 대만 요리는 편하게 먹을 수 있는 B급 음식으로 발전하는 경우가 많다. 길거리 음식, 야시장 테이블에서 빨리 먹거나, 단품 요리로 제공되는 것이 가장 큰 차이점이다. 중국 약선 요리의 영향을 받아 기름에 튀긴 한방 채소를 많이 사용하며, 일반 향신료보다 약재 향이 강하다.[154]
;일본 요리와의 차이점: 짠맛 부족
:대만 사람들은 건강을 생각해 채식 요리를 제외하고는 염분을 최대한 피한다. 일본 요리와 공통점이 많지만, 이는 대만총독부 시대의 영향이다. 일본 메이지, 다이쇼 시대의 다시, 가쓰오부시, 간장, 미소, 표고버섯, 건어물, 쓰케모노 등 일본식 식재료가 대만에 널리 보급되어, 대만의 일본식 중국 요리에 친숙함을 느끼는 일본인이 많다. 그러나 옛 일본 양념이 기원이기 때문에 현대 일본 요리와 맛이 다를 수 있다. 대만 언론 『삼립신문망(三立新聞網)』은 "대만 사람들은 일본 음식에 익숙해지면 대만에 돌아왔을 때 대만 요리의 맛을 느끼지 못한다"라고 보도했는데, 이는 대만 요리가 얼마나 싱거운지 보여준다.[154]
전반적으로 본토 중국 요리나 일본 요리보다 갈색, 베이지색, 아이보리색 음식이 많으며, 이는 중국 한방, 일본 다시, 찹쌀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 대만 요리는 중국 요리와 일본 요리의 중간적 특징을 가지면서도, 양국 요리와는 전혀 다른 음식도 많다.
4. 1. 식재료
대만은 섬나라로, 중앙에 3,000m급 중앙산맥(中央山脈)이 남북으로 뻗어 있다. 작은 나라이지만 다양한 지형과 잘 갖춰진 자연 환경 덕분에 각종 해산물과 임산물이 풍부하다.- '''과일:''' 싸고 종류도 많은 과일 관련 음식과 요리가 눈에 띈다. 과일 왕국이라 불리는 대만은 망고, 파인애플, 구아바, 자바애플, 슈가애플, 딸기, 멜론, 수박, 바나나, 키위 등이 풍부하다.
- '''채소·버섯:''' 물어리연을 비롯해 공심채, 죽순, 고구마, 배추, 청경채, 셀러리, 가지, 당근, 팽이, 갓, 양배추, 상추 등 제철 채소를 사용한 요리가 많다.
- '''향신료·향신채:''' 바질과 고수가 흔히 쓰이며, 그 외에도 팔각, 회향, 셜롯, 파초일엽, 및 마늘, 파, 부추, 생강 등이 쓰인다. 기름에 볶아 향을 내서 볶음 요리나 국물 요리에 사용한다.
- '''생선:''' 가자미목, 아귀목, 갯농어과, 대구과 생선이나 뱀장어, 오히찌(어란) 등을 먹는다. 특히 대만 산천어가 대만의 대표적인 물고기로 알려져 있다.
- '''새우:''' 블랙타이거, 대하, 보리새우, 벚꽃새우, 모란새우 등이 있다. 중국, 동남아시아, 일본 사이에 있어, 주변국에서 잘 먹는 새우는 기본적으로 대만에서도 잡힌다.
- '''게:''' 감칠맛이 강하고 비린내가 약한 것을 선호하며, 대만 근해에서 잡히는 닭게, 청색꽃게, 점박이꽃게, 남방톱날꽃게, 동남참게 등이 있다.
- '''조개:''' 어아찌안의 주재료인 굴 외에도 대합, 수랑, 오분자기, 가무락조개 등 여러 가지 패류가 쓰인다.
- '''국수·병과류:''' 여러 가지 국수 요리를 맛볼 수 있다. 난터우의 이몐, 타이난의 땅아미, 가오슝의 뉴러우몐, 신주의 미펀, 타이베이의 자장몐, 쓰촨식 매운 단단몐 등이 유명하다. 병과류로는 하카 병과, 아침 식사 때 먹는 단빙, 충유빙, 뤄보가오, 후자오빙, 지역 특산품인 타이양빙, 라오포빙 등이 있다.
- '''후식:''' 대만 원주민의 곡물 과자, 바오빙(빙수)과 타피오카 펄이나 젤리 등이 들어간 버블티, 펑리수 등 여러 가지 후식이 풍부하다.
- '''퓨전 중식·일식:''' 샤오룽바오 등 중국에서 기원한 요리도 대만 현지에서 수십 년간 독자적으로 발전했다. 대만식 일본 음식도 존재한다.
대만 요리의 일반적인 재료로는 돼지고기, 해산물, 닭고기, 쌀, 그리고 콩이 있다.[15] 전통적으로 쌀은 대만인의 식단의 기본이었다. 일본 식민지 시대 이전에는 대만에서 재배되는 쌀 대부분이 장립종 인디카 쌀이었다. 일본인들은 단립종 자포니카 쌀을 도입했고, 이는 대만인들의 농업과 식습관을 빠르게 바꾸었다.[12] 일본의 영향으로 대만인들은 일반적으로 통통하고 향이 좋으며, 약간 단단하고 달콤한 쌀을 선호한다.[12]
대만 요리는 지리적 위치의 영향도 받았다. 좁은 섬에 살았던 대만인들은 단백질 공급원을 농지 이외에서 찾아야 했다. 그 결과, 해산물이 그들의 요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해산물에는 참치와 능성어와 같은 큰 물고기[14]부터 정어리, 멸치와 같은 작은 물고기까지 다양한 종류가 포함된다. 갑각류, 오징어, 꼴뚜기도 먹는다. 뱅어는 대만 요리에서 가장 인기 있는 생선으로, 다재다능함과 부드러운 살, 그리고 저렴한 가격 때문에 인기가 있다.[52]
소고기는 다른 단백질보다 덜 흔하며, 일부 대만인들(특히 노년층)은 여전히 소고기를 먹지 않는다.[15] 그러나 1900년대 중국인 유입의 영향으로 대만식 소고기 국수는 현재 대만에서 가장 인기 있는 요리 중 하나가 되었다.
섬의 아열대 위치 때문에 대만은 파파야, 카람볼라(스타푸르트), 멜론, 감귤류 과일과 같은 다양한 과일을 풍부하게 공급받고 있다. 수입산과 토종 열대 과일도 대만에서 널리 즐기고 있다. 기타 농산물로는 쌀, 옥수수, 차, 돼지고기, 가금류, 소고기, 생선 및 기타 과일과 채소가 있다. 대만에서는 신선한 재료를 시장에서 쉽게 구할 수 있다.[17]
대만인들은 많은 요리에서 향신료 선택에 있어 창의성을 보여주었다. 대만 요리의 전형적인 향신료 혼합물은 오향분과 후자야오옌(후추 소금, 흰 후추, 소금, MSG, 설탕의 혼합물)이다.[18] 대만 요리는 풍부한 양념에 의존한다: 간장, 쌀술, 참깨 기름, 발효된 검은콩, 절인 무, 절인 개채, 땅콩, 고추, 고수(중국 파슬리라고도 함)[19], 그리고 현지산 바질().[20]
4. 2. 요리 종류
대만 사회는 이민자 사회의 특징을 지니므로, 대만 요리의 뿌리는 원주민 요리지만 현재 대만 요리에는 원주민 요리 전통의 영향이 제한적으로 나타난다. 이민자 중 인구가 많은 중국계 요리, 특히 푸젠 요리와 하카 요리가 대만 요리의 기반을 이룬다. 인구가 적은 대만 원주민들의 요리는 향토 요리 등으로 남아 있다.대만 요리에는 중국 각 지역의 요리 전통이 융합되어 있다. 샤먼, 취안저우, 장저우 등의 푸젠 요리가 원주민 요리와 융합되어 대만 요리의 기반을 이루었으며, 광둥의 하카인이나 중국 남부의 한족 등 여러 이민자 요리의 영향을 받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국민당과 함께 중국 대륙 각지의 사람이 대만에 건너오면서, 베이징, 상하이, 쓰촨, 광둥 요리 등 고급 중국 요리가 대만에서 발전하게 되었다.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일본 요리의 영향도 받았다. 특히 메이지, 다이쇼 시대 일본 요리의 영향이 강하게 나타나며, 오뎅, 덴푸라, 사시미, 스시, 미소시루, 카레라이스, 사케 등의 메뉴가 존재한다. 대만의 스시는 니기리즈시 외에 이나리즈시나 후토마키가 일반적이며, 스메시는 식초 간이 약하게 되어 있다. 집에서도 중국식 주요리에 이나리즈시와 미소시루 등의 일본 음식을 곁들이기도 한다.
- '''타이완 자오찬'''(): "자오찬()"은 "아침 식사"라는 뜻이다. 대만식 아침 식사는 중식, 양식 등 여러 가지 음식이 어우러져 있다. 아침 식사 전문점에서 뤄보가오 등 떡류, 단빙이나 충유빙 등 부침류, 더우장과 유탸오, 뉴러우몐 등 국수류, 죽, 주스 등의 다양한 음식을 먹을 수 있다.
- '''타이완 샤오츠'''(): "샤오츠()"는 "간식, 주전부리"라는 뜻이다. 야시장 등에서 즐길 수 있다.
- '''타이완 러차오'''(): 반주를 곁들이는 저녁 식사 때 먹는 요리나 술안주로 먹는 요리이다. 화려한 것과 서민적인 것이 있다.
- '''타이완 쑤스'''(): "쑤스()"는 "사찰음식"이라는 뜻이다. 대만식의 칭전 요리이며, 전국의 학생 식당부터 군대의 전투식량에까지 흔히 찾아볼 수 있다. 유더우푸, 밀고기, 고추 등의 식재료가 풍부하게 사용되며, 채식 닭고기가 "쑤지()", 채식 생선이 "쑤위()", 채식 고기가 "쑤러우()" 등으로 불린다.
- '''류수이시'''(): 잔치 요리이다. 차오저우 요리와 마찬가지로 상어 지느러미나 제비집 등의 희귀 식재료가 사용되며, 해삼과 전복 등이 사용되기도 한다.
- '''칭저우샤오차이'''(): 여러 가지 작은 반찬을 죽과 함께 먹는 것이다. 푸젠 요리와 하카 요리의 영향을 일부 받았으나, 옛 대만 사람들의 식습관을 반영하는 전통으로 꼽힌다.
- '''대만 약선 요리'''(): 대만의 약선 요리는 중의학 전통과 중식 약선 요리 전통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강한 양념이 특징으로 꼽힌다.
- '''내장 요리'''(內臟料理): 육류에서는 돼지고기가 중심인 것도 큰 특징 중 하나로, 원래 개척민에게 있어서 귀중한 동력원인 소를 먹는 습관은 없었다. 식재료를 낭비 없이 사용하는 등의 발상으로부터 동물의 내장이나 혈액을 이용하는 요리도 발달하고 있어, 오리의 혈액 덩어리·소 위장 채 썬 것·돼지 신장 조림·혀 튀김 등, 곱창이나 혈액을 다용하는 요리가 많다. 현대의 쇠고기 국수 등의 쇠고기 요리는 기본적으로 일본 통치 시대 이후 중국에서 전해진 습관이다.
대만에는 불교와 일관도(I-Kuan Tao)와 같은 종합적인 종교의 영향으로 다양한 채식 요리가 있는 채식 전문 식당이 흔하다.[15] 이러한 채식 식당은 뷔페식, 무게 단위 계산 방식, 일반 메뉴 주문 방식 등 다양한 형태를 띤다. 채식 식당과 음식은 종종 왼쪽을 향한 만자(卍) 표시로 표기된다.[34]
21세기에 들어서 대만에서는 특히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종교적 이유가 아닌 채식주의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동물 복지, 건강, 환경 지속 가능성, 기후 변화에 대한 우려로 인해 비건(veganism)도 증가하고 있다.[35] 대만의 전통 채식 제품 회사들도 급성장하는 인조 고기(fake meat) 시장으로 진출했다. 대만의 전통적인 인조 고기 요리법 덕분에 대만 기업들은 경쟁력을 확보했고, 현재 인조 고기 부문의 시장 선두주자 중 하나가 되었다. 대만 기업들은 유럽, 북미, 동남아시아 시장을 중심으로 상당한 수출을 하고 있다. 최대 인조 고기 생산 업체 중 하나인 홍양푸드(Hung Yang Foods)는 매출의 80%를 해외에서 올리고 있으며, 호주 슈퍼마켓의 90%에서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36]
2023년 기준으로 대만에는 약 6,000개의 채식 식당이 있었다.[37]
지역 | 음식 | 한자 | 타이완어 (Tâi-lô) | 설명 |
---|---|---|---|---|
창화현 | 바완 | bah-ôan | 타피오카 전분으로 만든 젤리 같은 큰 만두의 일종으로, 돼지고기와 채소, 버섯과 대나무 새싹을 채워 넣는다.[52] | |
자이시 | 칠면조 덮밥 | hoe-koe bah-pn̄g | 찢은 칠면조 고기를 밥 위에 얹은 덮밥으로, 종종 절인 무를 곁들인다. 밥 위에는 칠면조 기름과 간장으로 만든 육수를 뿌린다.[38] | |
자이시/타이난시 | 관재판 | koann-chhâ-páng | 프렌치토스트나 브레드볼 수프와 비슷하지만, 후추 소고기나 카레 치킨과 같은 짭짤한 속을 채운다. 두꺼운 빵을 계란에 적셔 튀긴 후 세 방향으로 잘라 열고 속을 채워 먹는다.[39] | |
다시구 | 다시 건조 두부 | Tāi-khe tāu-koaⁿ | 단단한 두부를 달콤한 간장 소스에 튀기고 끓인 다음 말린 것이다.[40] [41] | |
신주시 | 미트볼 | kòng-ôan | 종종 수프(thng)에 넣어 먹는다.[42] | |
신주시 | 쌀국수 | 米粉|미펀중국어 | bí-hún | 얇고 쫄깃한 쌀국수이다. 종종 버섯과 다진 돼지고기와 함께 마른(ta/kan, 수프 없이) 상태로 먹는다.[43] |
난터우현 | 위면 | ì-mī | 수프에 들어가는 부드러운 면이다. | |
타이중시 | 선케이크 | 타이중에서 가장 유명한 페이스트리 중 하나인 선케이크는 층층이 겹친 구운 퍼프 페이스트리로, 종종 꿀이나 당밀로 만든 달콤한 속을 가지고 있다.[44][45] | ||
타이난시 | 뱅어조기 죽 | 뱅어조기 배를 넣은 죽으로 구성된 아침 식사 메뉴이다. | ||
타이난시 | 타아미 | tàⁿ-á-mī | 다진 돼지고기, 새우, 숙주나물, 고수, 검은 식초, 마늘, 간장, 계란과 함께 제공되는 노란색 기름 국수이다.[52] | |
타이난시 | 새우와 돼지고기 미트볼 | 蝦仁肉丸|샤런러우완중국어 | hê-jîn bah-ôan | 새우 크래커/비스킷은 가장 유명한 지역 요리 중 하나이다. 타이난에서 유래한 또 다른 인기 있는 요리는 기름진 밥(Tâi-lâm iû-pn̄g)으로, 감칠맛 나는 기름과 찢은 돼지고기, 식용 버섯, 말린 새우가 들어간 밥 요리이다.[46] |
담수구 | 아게이 | a-geh | 튀긴 두부에 유리 국수를 채우고 생선 페이스트로 봉한 후 매운 소스를 뿌린 음식이다.[47] | |
담수구 | 담수 어묵 | hî-ôan | 담수는 바다 근처에 있으며 고기와 마늘을 채운 생선 페이스트 어묵을 가벼운 국물에 끓여 먹는 것으로 유명하다.[48] | |
담수구 | 철란 | thih-nn̄g | 여러 번 향신료를 섞어 삶고 공기 중에 말린 달걀이다. 결과적으로 달걀은 진한 갈색을 띠고 쫄깃하며 일반 삶은 달걀보다 풍미가 더 좋다.[52] | |
일란현 | 땅콩 아이스크림롤 | huāshēng juǎn bīngqílín | 파인애플, 타로 또는 땅콩 아이스크림을 채운 얇은 크레페에 깎은 엿 땅콩과 고수를 뿌린 음식이다. |
- 아이유 젤리 – 덩굴성 무화과(''Ficus pumila var. awkeotsang'') 씨앗으로 만든 젤리 디저트. 얼음 위에 제공된다.[3][52]
- 芋仔冰|위쯔빙중국어 – 타로 뿌리 페이스트로 만든 아이스크림.
- 빙관(剉冰) (바오빙(刨冰)으로도 알려짐) – 중국, 대만, 말레이시아, 베트남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대만식 얼음 刨빙 디저트.[3]
- 눈꽃빙(雪花冰) - "눈꽃빙" 또는 "눈송이 얼음"으로 번역되는 "xue hua bing"이라고도 불린다. 바오빙/빙관과는 다르게 얼음의 기본 혼합물이 크리미하며(일반적으로 우유가 첨가되지만 유제품 또는 식물성일 수 있음), 얼음 자체에 종종 맛이 녹아 있으며(우유, 타로, 초콜릿, 커피 등), 깎은 눈의 질감이 매우 고우며 접촉 시 거의 즉시 녹는다. 이 얼음은 일반적으로 원통형이며, 깎은 눈은 기계에서 주름진 리본 모양으로 나온다. 일반적인 토핑으로는 연유, 망고, 달콤한 팥, 달콤한 녹두, 보바 펄 또는 타로 등이 있다.
- 버블티, 즉 보바 밀크티; 펄 밀크티라고도 함 - 밀크티에 쫄깃한 타피오카 볼을 넣은 음료.[52]
- 전통 케이크는 맛에 따라 구성이 항상 같은 것은 아니다. 월병은 일반적으로 연꽃 씨앗 페이스트 또는 달콤한 팥 페이스트로 만든 두꺼운 속을 가지고 있으며 비교적 얇은(2~3mm) 껍질로 둘러싸여 있으며 소금에 절인 오리알 노른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달맞이 축제 때 먹으며, 친구들끼리 또는 가족 모임에서 축제를 기념하며 나눈다. 중추절은 중국에서 가장 중요한 네 가지 축제 중 하나이다.
- 차젤리 (仙草|셴차오중국어) – (''Mesona procumbens'') 뜨겁게 또는 차갑게 제공된다.
- 모아치 (麻糍|마츠중국어) - 일본의 다이후쿠 모찌와 같은 부드러운 찹쌀떡. 속의 맛은 콩류에서 견과류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52]
- 파인애플 케이크 (王梨酥|왕리쑤중국어) - 파인애플 필링으로 채워진 네모난 쇼트크러스트 파이. 대만에서 가장 잘 알려진 디저트 페이스트리이자 인기 있는 기념품 중 하나이다.[3]
- 차우아코 – 찹쌀가루 반죽으로 만들고, ''Gnaphalium affine'' 또는 쑥의 익힌 페이스트를 갈아 넣어 독특한 풍미와 녹색을 낸다. 반죽에는 일반적으로 다진 고기 또는 달콤한 콩 페이스트가 채워져 있다.
- 두화(豆花) - 시럽과 땅콩, 팥, 타피오카, 녹두 등의 토핑을 얹어 먹는 부드러운 두부. 뜨겁게 또는 차갑게 제공된다.
- 초콜릿 - 대만의 카카오 생산은 남부 대만 핑둥에 집중되어 있다. 2020년 기준으로 핑둥에서 약 200~300에이커가 재배되어 약 30개의 초콜릿 제조 회사를 지원하고 있다.[53][54] 대만은 카카오 생산국이기도 한 몇 안 되는 성숙한 초콜릿 제조 국가 중 하나이다.[53]
대만의 음식과 음식 문화는 매우 다양하며 한족의 이주로 인해 큰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대만 음식 문화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대만 원주민의 음식 문화이다. 원주민 인구는 대만 전체 인구의 약 1.5%에 불과하지만,[58] 그들의 음식과 조리법은 일반적인 중국식 영향을 받은 요리와 구별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원주민의 식단은 자연에 크게 의존한다. 풍부한 식물과 야생 동물이 있어 원주민들은 자연스러운 수렵 채집인이었다. 기본적으로 원주민들이 먹는 음식의 대부분은 해안 지역이나 산악 지역에 살았는지 여부와 같이 그들의 환경에 따라 달랐다.[59] 아미족, 아타얄족, 사이샤트족, 부눈족과 같은 부족들은 사냥할 수 있는 것은 사냥하고, 재배할 수 있는 것은 채집한다. 반면에 야미족과 타오족과 같은 부족들은 생선을 주된 식량원으로 삼는다. 대부분의 음식은 기장, 타로, 고구마, 야생 채소, 멧돼지와 쥐와 같은 사냥감으로 구성되었다. 이는 쌀과 닭고기를 주식으로 하는 한족의 주요 식단과 대조적이다.
산악 지역에 사는 사람들의 사냥감 고기에는 사슴과 부눈족이 별미로 여기는 날다람쥐 내장이 포함된다. 또 다른 것은 썩기 시작한 '구더기 든 고기' 즉 '썩은 고기'인데, 이것은 바비큐를 하거나 튀긴 후 마늘과 생강으로 양념하고 매운 소스와 함께 제공된다.[60]
아미족은 고기 외에도 많은 채소를 먹었는데, 소가 먹는 것은 사람도 먹을 수 있다는 믿음 때문이었다. 주로 야생 동물을 사냥하는 부눈족은 돌판에 구운 돼지고기, 멧돼지, 사슴, 돼지 통구이를 먹었다. 타이둥 해안에 위치한 야미족은 '날치'(또는 알리방방)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생선을 먹었다. 특선 요리로는 쌀과 강 생선, 야생 채소를 섞어 큰 대나무 통에 담아 제공하는 것이 있다.
기장은 주식일 뿐만 아니라 항상 술로 만들어졌다. 마시는 용도 외에도 기장주는 축제, 출산, 결혼식에서 제물로 사용되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기장주는 모두 원주민의 가정에서 만들어진다. 찹쌀은 물에 담근 후 나무찜기에 넣는다. 식힌 후 쌀을 물에 넣었다가 꺼내 쌀 누룩과 섞는다. 큰 항아리에 4~5일 동안 놓아둔 후, 쌀을 체나 쌀주머니에 넣으면 알코올 성분의 액체가 떨어져 보관된다.
대만 원주민 요리에서 또한 중요한 것은 다년생이고 관리가 쉬운 고구마와 타로이다. 전형적인 묘목 식물이 아닌 뿌리 채소의 재배가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신베이시 관음산 다펀컹 유적지에서 기원전 4천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두 가지 채소 모두 다용도로 사용되어 보통 삶거나 쪄서 그 자체로 먹거나 수프와 스튜의 재료로 사용되었다. 고도의 농업 기술이 필요 없었기 때문에 타로와 고구마는 농사짓기에 가장 좋은 작물이었다. 캐나다 선교사 조지 맥케이는 19세기 대만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고구마 덩이줄기는 3월에 심는다. 약 6주 후에 포도나무를 20cm 길이로 잘라 구멍에 심으면, 이 덩굴에서 덩이줄기가 자라 6월 말쯤에 수확한다. 7월에 비슷한 방법으로 두 번째 작물을 심어 11월에 수확한다." [61] 고구마와 타로의 영향은 엄청났다. 이들은 거리, 야시장, '미트 프레시'(鮮芋仙)와 같은 성공적인 음식 체인점에서 여전히 널리 사용되고 있다.
냉장고, 가스레인지, 오븐과 같은 현대적인 조리 도구가 없었기 때문에 원주민들은 음식을 준비하는 다른 방법을 사용했다. 사냥한 고기를 가져오면 기장주나 소금으로 고기를 보관했다. 또 다른 조리법은 돌을 불에 달구어 용기에 특정 고기와 해산물과 함께 넣어 돌의 열로 익히는 것이었다. 음식은 주로 찌거나 삶거나 굽는 방식으로 만들어져 풍미를 더하면서도 원래의 풍미를 보존했다. 이것은 볶고 끓이는 기술을 채택한 한족과 대조적이다.[62] 고기는 대나무 꼬챙이에 꿰어 불에 구웠다.
대만 원주민 요리는 한족 영향을 받은 요리와는 다른 독특한 풍미를 지니고 있다. 산후추(중국어로는 ''산후자오'', 아타얄족 용어 ''maqaw''에서 유래한 ''magao'')가 그러한 독특한 재료 중 하나이다.[63]
2000년에 CIP와 국립가오슝관광대학에서 발행한 요리책에는 주요 대만 원주민 부족의 음식이 나와 있으며, 원주민들이 자연 식품에 대한 충실함과 열정을 보여준다.
- 아미족: 알리봉봉(잎에 싸인 고기와 찹쌀 만두)(阿里鳳鳳); 야생 채소 볶음
- 아타얄족: 돌판 구이(石板烤肉); 랑잉(찐 찹쌀떡)(朗應)
- 부눈족: 부눈 기장 떡(布農粿); 기장밥(小米飯)
- 파이완족: 기장 치나푸(기장과 돼지고기 경단)(小米奇那富); 찐볼레(수수와 돼지고기 만두를 바나나 잎에 싼 것)(金伯樂)
- 푸유마족: 이나페이 산악 떡(以那馡山地粿); 바질을 곁들인 튀긴 야생쥐(九層野鼠)
- 루카이족: 치나부(타로와 고기 만두)(奇那步); 구운 멧돼지
- 사이샤트족: 파파야를 곁들인 구운 멧돼지(木瓜拌山豬肉); 야생화 모듬(野花拼盤); 카사바와 갈비탕(樹薯排骨湯)
- 초우족: 대나무 밥(竹筒飯); 바나나 케이크(香蕉糕)
- 야미족: 삶은 타로와 게(芋泥加蟹肉); 구운 생선; 찐 말린 생선(蒸魚乾)
퓨전 요리는 대만에서 매우 인기가 많다. 많은 대만 요리는 문화적 융합의 결과이며, 이웃 마카오의 포르투갈 식민지 시대의 유산인 대만식 나타 데 우후가 그 예이다.[96]
이탈리아 요리는 오랫동안 대만에서 인기가 있었지만, 1990년대 후반과 2000년대 초반까지는 진정한 이탈리아 레스토랑과 이탈리아 요리사가 거의 없었다. 2007년~2008년 금융 위기로 인해 많은 이탈리아인들이 더 건강한 경제를 가진 국가로 이민을 떠났다. 이는 대만 내 이탈리아 레스토랑 수와 이탈리아인 거주자 수의 급증으로 이어졌다. 대부분의 레스토랑은 전통적인 이탈리아 코스 스타일을 따르지만, 식사량은 이탈리아계 미국인 요리의 영향을 받았다. 대만인들은 이탈리아 요리에 대해 점점 열정적이고 까다로워졌다.[97] 마이클 드 프렌다는 여러 레스토랑, 시장, 농장을 시작하며 대만 이탈리아 요리의 혁신가 중 한 명이었다.[98]
피자는 대만에서 가장 인기 있는 음식 중 하나이다. 최초의 피자 레스토랑은 1970년대에 문을 열었고, 해외 체류 경험이 있는 부유한 젊은 세대의 고급 이탈리아식 및 미국식 피자에 대한 수요 증가에 힘입어 2000년대에 이 산업은 급속도로 성장했다.[99]
피자헛과 도미노피자와 같은 체인 피자 레스토랑은 매운 훠궈, 고수와 오리알에 돼지피, 소고기와 키위, 찹쌀, 라면, 취두부 등의 기상천외한 토핑을 사용한 프로모션 피자를 선보이며 국내외의 주목을 끌고 있다. 피자헛은 1986년 대만 시장에 진출했고, 도미노피자는 1980년대 후반에 진출했다. 2022년 기준, 각 회사는 대만에 150개가 넘는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99]
역사적으로 인도계 화교들이 요리 기술을 배우기 위해 대만으로 왔다. 대만에는 인도 음식점이 있었지만, 전체적으로 인도 음식은 대중화되는 데 시간이 걸렸다.[100]
인도 음식은 2000년대에 대만에서 인기를 얻기 시작했다. 대만 내 인도 및 광범위한 남아시아계 커뮤니티의 성장과 함께 인도 음식점의 수도 증가했지만, 대부분의 고객은 현지인이며, 대학 식당이나 기타 기관 시설에서도 인도 음식을 찾아볼 수 있다.[101]
국민당과 함께 탈출한 사람들 중에는 러시아 혁명을 피해 중국으로 피신했던 백계 러시아인(White Russian) 난민들도 있었다. 조지 엘스너(George Elsner)는 1949년 대만에 최초의 러시아 레스토랑인 카페 아스트리아(The Café Astoria)를 설립했다. 카페 아스트리아는 초기 대만에서 러시아 이주민들의 중심지였다. 장징궈와 그의 러시아인 아내 파이나 바흐레바(Faina Vakhreva)는 자주 아이들을 데리고 그곳에서 식사를 했다. 엘스너는 무국적자(stateless person)로 대만에서 사망했다.[102]
뉴노르딕 퀴진(New Nordic Cuisine)은 대만 주요 도시에서 인기 있으며, 정통 노르딕 퀴진과 현지 재료와 취향에 맞춰 변형된 노르딕 퀴진을 제공하는 레스토랑들이 있다.[103][104]
2019~2020년 홍콩 민주화 시위 이후 홍콩에서 이민 온 사람들이 증가하면서 홍콩 요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홍콩과 타이완 요리의 퓨전도 활발해졌다. 타이완은 많은 홍콩 사람들에게 안전한 피난처로 여겨지며, 많은 사람들이 타이완에서 구할 수 없거나 홍콩 수준에 미치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음식을 제공하기 위해 상점과 식당을 열었다.[105]
대만, 특히 타이베이는 일본 외 지역 중에서 가장 훌륭한 일본 음식을 맛볼 수 있는 곳으로 여겨진다. 이는 일본 식민지 시대의 유산과 지속적인 문화 및 상업 교류 때문이다.[106]
대만의 라멘 식당에서는 종종 두리안[107], 통째로 넣은 거대 등각류[108][109], 악어고기[110], 그리고 통째로 넣은 개구리[111] 등 독특하고 기이한 라멘 요리를 선보입니다.
미얀마식과 중국식 미얀마 요리 음식점들은 주로 타이베이의 리틀 버마 지역에 위치해 있다. 중국계 미얀마인들의 타이완 이주는 1950년대에 시작되었다.[112]
국민당의 퇴각 이후 수십 년 동안 이러한 지역 요리들은 발전하여 대만 요리의 일부가 되었다.[113]
대만 요리사 푸페이메이(傅培梅)에 따르면, 정통 중국 요리 전통은 대만에서 제대로 보존되었다. 푸페이메이 세대 사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이러한 정통성 주장은 요리 이상으로 확장된 국민당의 중국 국민당 정치 메시지 때문이었다.[6] 하지만 대만의 지역 중국 요리의 정통성에 대해서는 이의가 제기되고 있다.[7]
대만에는 상당한 규모의 싱가포르인 공동체가 있다. 2020년, 싱가포르 출신 요리사 지미 림 티안 야우(Jimmy Lim Tyan Yaw)의 타이중 소재 레스토랑 JL 스튜디오는 미슐랭 스타 2개를 획득하여 세계에서 가장 높은 평점을 받은 싱가포르 레스토랑이 되었다.[114]
대만에는 초기에는 “대만 요리”라는 말이나 그 한자 표기가 존재하지 않았고, 일제강점기에 만들어진 것이다.[142] 또한, 일제강점기의 대만 요리는 현재 의미의 대만 요리와는 달리, “일본인에게 식민지 풍습을 보여주기 위해, 대만 섬 안에 존재하는 모든 요리를 통틀어 부른 것”이었다.[142]
국립대만도서관과 국립대만사범대학의 연구에 따르면,[143][144] 현대의 대만 요리는 두 가지 의미로 나뉜다.
- '''광의의 대만 요리''':즉, “'''타이완차이(台湾菜)'''”를 말한다. 대만에서 먹을 수 있는 모든 향토 요리, 원주민 요리, 그리고 외국 요리를 대만식으로 재해석한 것의 총칭이다.
- '''협의의 대만 요리''':즉, “'''타이차이(台菜)'''”를 말한다. 타이차이는 주로 “대만에 사는 민난인(閩南人)의 요리”를 가리킨다. 민난인은 중국 복건성(福建省)에서 이주해 온 사람들로, 현재 대만 인구의 약 7할을 차지하고 있다. 대만에는 이 밖에도 중국 대륙에서 온 객가인과 외성인이 있지만, 그들의 요리는 이 협의의 “타이차이”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작은 종류는 매우 많지만, 대략적으로 나누면 다음 5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 '''고전 타이차이(古典臺菜)''':소위 “고전적이고 정통적인 대만 요리”를 가리키며, “자우자차이(酒家菜)”나 “자우루차이(酒樓菜)”라고도 표기된다.[145] 일제강점기에 형성되었고, 주로 고급 레스토랑이나 공식적인 자리에서 제공되었으며, 그 기원은 쇼와 천황이 황태자 히로히토였을 무렵, 대만에서 먹은 회석 요리에 유래한다.[142]
# '''자창차이(家常菜)''' 및 '''샤오츠(小吃)''':
#* '''자창차이'''는 “가정 요리”를 의미하며, 명확한 기원은 없고, 조리 방법도 자유로우며, 대만 섬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대대로 가정에서 일상적으로 먹어 온 간단한 요리를 가리킨다.
#* '''샤오츠'''는 “야시장이나 포장마차에서 팔리는 간식”을 가리키며, 캐주얼한 자리에서 즐기는 것이 일반적이다.
# '''빤줘차이(辦桌菜)''':신에게 기도하거나 활기찬 축제, 결혼식, 장례식 등 특별한 자리에서 제공되는 요리이며, 특징으로는, 양이 많은 돼지고기 요리와, 동물을 전혀 죽이지 않고 만든 정진 요리가 동시에 제공된다.
# '''저디화된 중화요리(在地化的中華料理)''':국어(臺灣國語)로 “대만 현지에서, 대만 사람의 기호에 맞춰 재해석된 중화요리”를 가리킨다. 일본의 일식 중화요리처럼 본토 중국 요리와는 크게 다르며, 독자적인 양념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 '''족군 특색채(族群特色菜
5. 대표적인 요리
대만은 다양한 이민자 사회의 특징을 지니고 있어, 대만 요리의 기원은 원주민 요리이지만, 현재는 푸젠 요리와 하카 요리를 기반으로 중국 요리와 일본 요리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특히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일본 요리의 영향이 크게 작용하여, 오뎅, 덴푸라, 사시미, 스시 등이 대중화되었다.
- '''타이완 자오찬'''(): 아침 식사를 의미한다. 중식, 양식 등 다양한 음식이 어우러져 있으며, 뤄보가오, 단빙, 충유빙, 더우장, 유탸오, 뉴러우몐, 죽, 주스 등을 전문점에서 즐길 수 있다.
- '''타이완 샤오츠'''(): 간식을 뜻하며, 야시장에서 주로 즐길 수 있다.
- '''타이완 러차오'''(): 반주와 함께 저녁 식사나 술안주로 즐기는 요리이다.
- '''타이완 쑤스'''(): 사찰음식을 의미하며, 유더우푸, 밀고기 등을 활용한 대만식 칭전 요리이다.
- '''류수이시'''(): 잔치 요리로, 차오저우 요리처럼 상어 지느러미, 제비집, 해삼, 전복 등을 사용한다.
- '''칭저우샤오차이'''(): 죽과 함께 여러 가지 작은 반찬을 곁들이는 것으로, 푸젠 요리와 하카 요리의 영향을 받았다.
- '''대만 약선 요리'''(): 중의학 전통과 중식 약선 요리 전통의 영향을 받아 강한 양념이 특징이다.
- '''내장 요리'''(內臟料理): 돼지고기를 중심으로 동물의 내장이나 혈액을 이용한 요리가 발달했다.
지역 | 음식 | 한자 | 타이완어 (Tâi-lô) | 설명 | 사진 |
---|---|---|---|---|---|
창화현 | 바완 | bah-ôan | 타피오카 전분으로 만든 젤리와 같은 큰 만두의 일종으로, 돼지고기, 채소, 버섯, 죽순을 채워 넣는다.[52] | ||
자이시 | 칠면조 덮밥 | hoe-koe bah-pn̄g | 찢은 칠면조 고기를 밥 위에 얹고, 절인 무를 곁들인 덮밥이다. 칠면조 기름과 간장으로 만든 육수를 뿌린다.[38] | ![]() | |
자이시/타이난시 | 관재판 | koann-chhâ-páng | 프렌치토스트나 브레드볼 수프와 비슷하지만, 후추 소고기나 카레 치킨과 같은 짭짤한 속을 채운다. 두꺼운 빵을 계란에 적셔 튀긴 후 잘라 속을 채워 먹는다.[39] | ||
다시구 | 다시 건조 두부 | Tāi-khe tāu-koaⁿ | 단단한 두부를 달콤한 간장 소스에 튀기고 끓인 다음 말린 것이다.[40] [41] | ||
신주시 | 미트볼 | kòng-ôan | 종종 수프(thng)에 넣어 먹는다.[42] | ||
신주시 | 쌀국수 | 米粉중국어 | bí-hún | 얇고 쫄깃한 쌀국수로, 버섯과 다진 돼지고기와 함께 마른(ta/kan, 수프 없이) 상태로 먹는다.[43] | |
난터우현 | 위면 | ì-mī | 수프에 들어가는 부드러운 면이다. | ![]() | |
타이중시 | 선케이크 | 타이중에서 유명한 페이스트리로, 층층이 겹친 구운 퍼프 페이스트리 안에 꿀이나 당밀로 만든 달콤한 속을 가지고 있다.[44][45] | ![]() | ||
타이난시 | 뱅어조기 죽 | 뱅어조기 배를 넣은 죽이다. | ![]() | ||
타이난시 | 타아미 | tàⁿ-á-mī | 다진 돼지고기, 새우, 숙주나물, 고수, 검은 식초, 마늘, 간장, 계란과 함께 제공되는 노란색 기름 국수이다.[52] | ![]() | |
타이난시 | 새우와 돼지고기 미트볼 | 蝦仁肉丸중국어 | hê-jîn bah-ôan | 타이난에서 유래한 인기 있는 요리이다. | |
담수구 | 아게이 | a-geh | 튀긴 두부에 유리 국수를 채우고 생선 페이스트로 봉한 후 매운 소스를 뿌린 음식이다.[47] | ||
담수구 | 담수 어묵 | hî-ôan | 바다 근처 담수에서는 고기와 마늘을 채운 생선 페이스트 어묵을 가벼운 국물에 끓여 먹는 것으로 유명하다.[48] | ||
담수구 | 철란 | thih-nn̄g | 여러 번 향신료를 섞어 삶고 공기 중에 말린 달걀이다. 진한 갈색을 띠고 쫄깃하며 풍미가 좋다.[52] | ![]() | |
일란현 | 땅콩 아이스크림롤 | 花生捲冰淇淋|huāshēng juǎn bīngqílín중국어 | 파인애플, 타로 또는 땅콩 아이스크림을 채운 얇은 크레페에 깎은 엿 땅콩과 고수를 뿌린 음식이다. |
일반적인 영어 명칭 | 한자 | 대만어 (Tâi-lô) | 중국어 병음 | 영향 | 설명 | 사진 | |
---|---|---|---|---|---|---|---|
과바오 | 刈包중국어 | koah-pau | guàbāo | 복건성 | 간장에 조린 돼지고기 배꼽살, 절인 겨자 채소, 땅콩가루, 설탕, 고수를 넣은 납작하고 조개 모양의 찐 흰 빵.[3] | ![]() | |
오징어 갱 | jiû-hî keⁿ | yóuyúgēng | 현지 | 오징어에 생선 페이스트를 얹은 맑고 걸쭉한 수프. | ![]() | ||
굴 오믈렛 | 蚵仔煎중국어 | ô-á-chian | ézǐjiān | 복건성 | 달걀, 굴, 타피오카 전분, 구절초 잎으로 만든 쫄깃한 오믈렛으로, 부드럽고 끈적끈적한 질감에 달콤하고 약간 매콤한 소스와 고수를 얹어 먹는다. 대만에서 가장 인기 있는 간식이다.[49] | ![]() | |
굴 국수 | ô-á mī-sòaⁿ | ézǐ miànxiàn | 현지 | 작은 굴과 찐 미수아(중국식 국수)가 들어있는 걸쭉한 수프.[3] | ![]() | ||
버블티 | 珍珠奶茶중국어 | zhēnzhū nǎichá | 현지 | 홍차와 우유, 설탕에 쫄깃한 타피오카 진주를 넣은 음료이다. 타이중에서 발명되었다.[50] | ![]() | ||
돼지피 케이크 | / | ti-huih-ko / ti-hoeh-kóe | zhūxiěgāo/ zhūxiěguǒ | 복건 | 돼지 피와 쌀로 만든 케이크로, 꼬치에 꽂아 간장에 찍어 먹고, 핫소스를 추가하거나 땅콩가루와 고수를 얹어 먹는다. | ![]() | |
루로판 (다진 돼지고기 덮밥) | ló͘-bah-pn̄g | lǔròufàn | 복건성 | 다진, 깍둑썰기 또는 갈은 기름진 돼지고기를 간장과 향신료에 졸여 밥 위에 얹어 먹는다. | ![]() | ||
콩바판 (조림 돼지고기 덮밥) | khòng-bah-pn̄g | kàngròufàn | 복건성 | 돼지고기 덩어리를 간장과 향신료에 졸여 밥 위에 얹어 먹는다.[3] | ![]() | ||
큰 소시지에 작은 소시지 | tōa-tn̂g pau sió-tn̂g | dàcháng bāo xiǎocháng | 현지 | 구운 대만식 돼지고기 소시지를 구운, 짭짤하고 끈적끈적한 찹쌀 소시지로 감싼 것이다. 마늘과 바질을 넣어 감싸고, 후추, 마늘, 고추, 버터, 초콜릿 등 원하는 맛을 선택할 수 있다. | ![]() | ||
삼배계 | sam-poe-koe | sānbēijī | 강서 | 술 한 컵, 참깨 기름 한 컵, 간장 한 컵으로 소스를 만들어 "세 컵 닭고기"라고 불린다. | ![]() | ||
무말랭이 오믈렛 | 菜脯蛋중국어 | chhài-pó͘-nn̄g | càifǔdàn | 복건성 | 잘게 썬 대만식 절인 무를 오믈렛에 넣어 조리한 것 | ![]() | |
오뎅 | o-lien' | Hēi lún | 일본 | 생선 케이크를 사용하며, 생선 수프로 만든 생선 소스를 사용하고, 다양한 재료와 함께 냄비에 끓여서 오뎅과 비슷하다. | |||
오이 돼지고기 | koe-á bah | guāzǐròu | 광동성 | 대만식 절인 오이를 넣은 찐 다진 돼지고기. | |||
매운 훠궈 | ba-luah e | málàguō | 사천성 | 타이베이에서 인기가 많아지고 있으며, 중국 약초와 기타 특별한 재료를 포함하여 매우 맵다. | |||
장어 국수 | siān-hî ì-mī | shànyú yìmiàn | 현지 | 전분으로 걸쭉하게 만든 달콤하고 신맛이 나는 수프에 민물장어와 이면을 넣은 요리. | ![]() | ||
담수 아게이 | Tām-chúi a-geh | Dànshuǐ āgěi | 현지 | 익힌 당면을 채운 찐 아부라아게 두부를 어육소시지로 덮은 것 | |||
단빙 | 蛋餅중국어 | nn̄g-piánn | Dàn bǐng | 현지 | 밀가루, 감자전분, 찹쌀가루, 물을 반죽하여 얇게 펴고 그 위에 오믈렛을 구워 만든 아침 식사 요리.[51] | ![]() | |
철란 | thih-nn̄g | tiědàn | 현지 | 간장에 삶은 달걀로, 껍질을 벗기지 않고 껍질에 금이 가도록 삶아 맛있고 쫄깃한 질감을 낸다. | -- | ||
차오아꼬 | chháu-á-kóe / chháu-á-ké | cǎozaǐguǒ | 복건성 | 찹쌀가루, 설탕, 개쑥갓 또는 쑥을 삶아 빻은 페이스트로 만든 쿠이의 한 종류이다. 말린 새우, 표고버섯, 흰 무(菜脯), 튀긴 쪽파를 넣어 만든다. | ![]() | ||
달나라 새우 케이크 | 月亮蝦餅|yuèliàng xiābǐng중국어 | ge̍h-liāng hê-piánn | 태국/동남아시아 | 대만 태국 음식점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새우, 마늘, 돼지 기름을 으깬 다음 둥근 스프링롤 포장지에 펴서 팬에 튀겨 달콤한 고추장과 함께 낸다. | |||
대만식 소고기 국수 | 臺灣牛肉麵|táiwān niúròumiàn중국어 | dái-wán gu-bà mi | 현지 | 소고기 국수의 빨간색 졸임 버전. | ![]() | ||
창잉토우 | 蒼蠅頭|cāng yíng tóu중국어 | 사천성 | 다진 파와 다진 돼지고기, 발효 검은콩을 볶은 요리. | ![]() | |||
통자미고 | 筒仔米糕|Tǒng zǐ mǐ gāo중국어 | tâng-á-bí-ko | 현지 | 양념하고 찐 찹쌀 혼합물을 대나무 통에 넣어 만든 요리. | ![]() |
분류:대만 요리
분류:나라별 요리
분류:동아시아 요리
6. 야시장 음식
대만에서 가장 유명한 간식들은 야시장에서 찾아볼 수 있다. 길거리 노점상들은 손가락으로 집어 먹는 간식, 음료, 과자부터 앉아서 먹는 요리까지 다양한 음식을 판매한다. 이러한 야시장에서는 튀김과 찐 고기 만두, 어아찌안(굴 오믈렛), 상큼한 과일 아이스 등을 비롯해 훨씬 더 많은 것을 찾을 수 있다. 야시장에서는 간식, 전채 요리, 메인 요리, 디저트 외에도 의류, 액세서리를 파는 노점상들도 있으며, 모든 종류의 오락과 상품을 제공한다.[56] 길거리 노점상들은 과거 대만 전역에서 흔히 볼 수 있었지만, 규제 강화와 식품 안전 문제로 인해 현재는 야시장과 푸드코트에서 주로 찾아볼 수 있다. 대만 푸드코트는 전통 야시장의 아이디어와 미국과 일본의 아이디어를 결합한 곳이다. 푸드코트는 대만 전역에 널리 퍼져 있으며, 많은 야시장 음식들을 이제 야시장 밖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55]
2014년, 가디언은 대만의 야시장을 "세계 최고의 길거리 음식 시장"이라고 불렀다.[56] 시린 야시장과 같이 일부 야시장은 현지인보다 관광객들에게 더 인기가 많아져 상업화로 인해 본래의 맛을 잃었다는 불만이 제기되고 있다.
일반적인 영어 용어 | 한자 | Tâi-lô중국어 | 중국어 병음 | 영향 | 설명 | 사진 | |
---|---|---|---|---|---|---|---|
타코야키 | 章魚燒 | 일본 | 다진 문어를 밀가루 반죽에 넣어 공 모양으로 튀긴 간식으로, 와사비와 같은 양념과 함께 먹을 수 있다. 야시장에서 흔히 볼 수 있다.[57] | ||||
와플 | 車輪餅 | chhia-lûn-piáⁿ | chēlúnbǐng | 일본 | 뜨거운 금속 틀에 팬케이크 반죽을 붓고 빠르게 조리하여 다양한 모양의 작은 케이크로 만든다. 수많은 변형이 존재한다. 케이크에는 크림, 팥, 땅콩 버터 등의 다양한 속이 들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마가와야키 또는 타이야키와 유사하다. | ||
취두부 | 臭豆腐 | chhàu-tāu-hū | chòudòufǔ | 중국 | 취두부는 대만에서 인기 있는 음식이다. 강한 불쾌한 냄새 때문에 "취두부"라고 불린다.[52] 청나라 시절 이미 왕실의 식단에 포함되어 있었으며, 서태후의 가장 좋아하는 음식 중 하나이기도 했다. 취두부는 일반적으로 부드러운 취두부(臭豆腐乳)와 건조한 취두부(臭豆腐乾)의 두 가지 주요 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 ![]() | |
대만식 미트볼 | 肉圓 | bah-oân | ròuyuán | 현지 | 돼지고기, 죽순, 표고버섯으로 채운 끈적끈적한 젤라틴 타피오카 반죽으로, 감칠맛 나는 달콤하고 매운 소스와 함께 제공된다. | ![]() | |
옥수수 | 玉米 | yùmǐ | 미국 | 판매자는 한 가지 종류의 옥수수를 전문으로 취급하거나, 짭짤한 옥수수와 단 옥수수를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다. 옥수수는 쪄서, 구워서, 삶아서 등 다양한 방법으로 조리한다. | |||
대만 소시지 | 香腸 | ian-chhiâng (煙腸) | xiāngcháng | 중국 | 약간 달콤한 맛의 기름진 돼지고기 소시지이다. 여러 종류가 있다. 고량주를 소시지 레시피에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야시장에서는 다양한 양념과 함께 꼬치에 꽂아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때로는 찹쌀에 싸서 제공하기도 한다. 1980년대 초, 자원이 상대적으로 부족했던 시절에는 이쑤시개에 꽂은 소시지 하나에 마늘 한 쪽을 곁들여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였다. | ||
파 빵 | 蔥油餅 | cōngyóubǐng | 중국 | 많은 얇은 층으로 만들어진 쪽파(다진 쪽파)를 넣은 파 밀가루 팬케이크이다. 치즈와 계란은 인기 있는 추가 속이다.[52] 중국에서 유래한 간식이다. | |||
탕후루 | 糖葫蘆 | tánghúlú | 중국 | 빨간 사탕으로 코팅된 한입 크기의 과일을 꼬치에 꽂아 제공한다. 과일에 말린 자두를 채운 다음 사탕을 입히는 경우도 있다. 체리 토마토와 딸기도 사용된다. | |||
구운 오징어 | 烤花枝 | kǎo huāzhī | 일본 | 구울 때 종종 양념에 재워서 구운 오징어이다. | |||
빙수 | 礤冰/剉冰/刨冰 | chhoah-peng | cuòbīng/bàobīng | 현지 | 다양한 토핑(땅콩, 과일, 팥, 단 옥수수 등)이 들어간 아주 잘게 간 얼음이다. 연유를 뿌려 제공하는 경우도 있다.[52] | ||
오뎅 | 甜不辣 | tiánbùlà | 일본 | 튀긴 수산가공품과 어묵을 국물에 끓여 달콤한 소스와 함께 제공한다. 일본의 사츠마아게와 유사하며, 일본 일부 지역에서는 덴푸라라고 부른다. 그러나 일본 덴푸라와는 관련이 없으며, 일본 오뎅과도 유사하다.[52] | |||
대만식 춘권 | 潤餅 | jūn-piáⁿ / lūn-piáⁿ | rùnbǐng | 복건 | 대만식 춘권은 설탕 가루, 땅콩 가루, 계란, 채소, 돼지고기, 심지어 해산물까지 다양한 속을 넣은 반죽으로 만든 반죽이다. 대만식 춘권은 서양식 크레페와 같은 반죽으로 만들어진다. | ![]() | |
샤와르마 | 沙威馬 | shāwēimǎ | 서아시아 | 보통 양념을 한 구운 닭고기로 만들어진 샌드위치로, 발효된 밀가루 빵에 주리엔한 양배추, 토마토 한 조각, 다진 양파, 케첩과 마요네즈와 함께 제공된다. 수십 년 전 터키에서 들어왔으며, 터키에서 만드는 샤와르마의 양념과는 상당히 다르다. | |||
팝콘 치킨 | 鹹酥雞/鹽酥雞 | kiâm-so͘-ke / kiâm-so͘-koe | xiánsūjī / yánsūjī | 미국 | 소금과 후추를 뿌리고 향긋하게 조리한 바질로 양념한 양념된 닭고기를 튀긴 팝콘 치킨이다. 육즙이 많고 부드러운 식감으로 모든 사람에게 사랑받는 맛있는 간식이다.[52] | ![]() | |
닭튀김 필레 | 炸雞排 | zhá jīpái | 미국 | 닭튀김 필레는 대만에서 가장 인기 있는 간식 중 하나이다.[52] 닭튀김 필레는 20년 전에 처음 대만에 등장했지만, 판매자들이 새로운 맛과 조리법을 만들어내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해 왔다. 대부분의 패스트푸드 레스토랑에서 제공되는 닭튀김과 달리, 이 간식은 납작하게 두들겨서 양념하고, 튀김옷을 입혀 튀긴 닭가슴살로 만들어진다. 조리 후 후추 가루를 넉넉히 뿌린다. 바삭한 겉과 부드럽고 촉촉한 속이 특징이다. | |||
육송 또는 돼지고기 풀 | 肉鬆 | Ròusōng | 중국 | ![]() | |||
- 샤오츠(小吃)는 간식, B급 음식, 포장마차 음식의 총칭이며, 대만어로는 「샤오디엔」이라고 한다. 대만에서는 예로부터 외식 문화가 성행하고 있어, 조찬, 중식, 석식 모두를 외식으로 해결할 수 있다. 특히 야시에서는 다양한 포장마차 음식을 즐길 수 있으며, 대만의 식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7. 지역별 특색 요리
대만 요리는 이민자 사회의 특징을 반영하여 원주민 요리의 전통보다는 중국계 요리, 특히 푸젠 요리와 하카 요리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대만 원주민 요리는 향토 요리 등으로 남아있다.
대만 요리는 중국 각지의 요리 전통이 융합된 형태이다. 샤먼, 취안저우, 장저우 등 푸젠 요리가 원주민 요리와 융합되어 대만 요리의 기반을 이루었고, 광둥의 하카인이나 중국 남부 한족 등 여러 이민자 요리의 영향을 받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베이징, 상하이, 쓰촨 등 고급 중국 요리가 대만에서 발전했다.
50년간의 일제 식민지배 시대에는 일본 요리의 영향도 받았다. 메이지, 다이쇼 시대 일본 요리의 영향이 강하게 나타나며, 오뎅, 덴푸라, 사시미, 스시, 미소시루, 카레라이스, 사케 등의 메뉴가 있다. 대만의 스시는 니기리즈시 외에 이나리즈시나 후토마키가 일반적이며, 스메시는 식초 간이 약하다.
- '''타이완 자오찬'''(): "자오찬()"은 "아침 식사"라는 뜻이다. 중식, 양식 등 다양한 음식이 어우러져 있으며, 아침 식사 전문점에서 뤄보가오, 단빙, 충유빙, 더우장과 유탸오, 뉴러우몐, 죽, 주스 등을 먹을 수 있다.
- '''타이완 샤오츠'''(): "샤오츠()"는 "간식, 주전부리"라는 뜻으로, 야시장 등에서 즐길 수 있다.
- '''타이완 러차오'''(): 반주를 곁들이는 저녁 식사나 술안주로 먹는 요리이다.
- '''타이완 쑤스'''(): "쑤스()"는 "사찰음식"이라는 뜻으로, 대만식 칭전 요리이다. 유더우푸, 밀고기, 고추 등의 식재료가 풍부하게 사용되며, 채식 닭고기는 "쑤지()", 채식 생선은 "쑤위()", 채식 고기는 "쑤러우()" 등으로 불린다.
- '''류수이시'''(): 잔치 요리로, 차오저우 요리와 마찬가지로 상어 지느러미, 제비집, 해삼, 전복 등이 사용된다.
- '''칭저우샤오차이'''(): 여러 가지 작은 반찬을 죽과 함께 먹는 것으로, 푸젠 요리와 하카 요리의 영향을 받았지만, 옛 대만 사람들의 식습관을 반영하는 전통으로 꼽힌다.
- '''대만 약선 요리'''(): 중의학 전통과 중식 약선 요리 전통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강한 양념이 특징이다.
- '''내장 요리'''(內臟料理): 돼지고기가 중심이며, 소를 먹는 습관은 없었다. 동물의 내장이나 혈액을 이용하는 요리가 발달했으며, 오리 혈액 덩어리, 소 위장 세단, 돼지 신장 끓이기, 혀 튀김 등 다양한 요리가 있다. 현대의 쇠고기 국수는 일본 통치 시대 이후 중국에서 전해진 습관이다.
이름 | 사진 | 지역 | 설명 |
---|---|---|---|
껑우안/궁완 | 신주현 | 흔히 국물과 조리해 먹는다[165] | |
꾸앙차빵/관차이반 | 자이현/타이난시 | 프렌치 토스트나 빵 그릇 수프와 비슷하지만, 안에 헤이자오뉴류(후추 쇠고기)나 카리지(커리 닭고기) 등의 짭짤한 소가 들어 있다. 두툼하게 자른 빵을 달걀물에 담갔다가 튀기고, 잘라서 소를 채워 먹는다.[166] | |
다시 더우간/따이케 따우꾸앙 | 다시구 | 모두부를 간장 소스에 조려서 말린 더우간(건두부)이다.[167] | |
땅아미/단짜이몐 | 타이난시 | 기름진 노란 국수에 다진 돼지고기, 새우, 숙주나물, 고수, 흑식초, 마늘, 간장, 달걀을 곁들여 낸다. | |
바우안/러우위안 | 장화현 | "고기 동그라미"라는 뜻이다. 쫀득쫀득한 카사바 녹말 반죽으로 만든 큰 덤플링이며, 안에 돼지고기와 채소, 버섯, 죽순 등 소가 들어 있다. | |
스무위두저우 | 타이난시 | 갯농어 뱃살이 들어간 죽이다. 아침 식사로 먹는다. | |
신주 미펀/신떽 비훈 | 신주현 | 쌀국수인 미펀에 버섯과 다진 돼지고기를 곁들여 국물 없이 먹는다.[168] | |
아게이/아게 | 단수이구 | 당면 소를 넣고 고기풀로 봉한 두부 튀김이다. 겉에 매콤한 소스를 뿌려 먹는다.[169] | |
이몐/이미 | 난터우현 | 부드러운 국수를 국물에 말아 먹는다. | |
타이양빙 | 타이중시 | 타이중에서 가장 이름 있는 페이스트리 가운데 하나이다. 여러 겹의 퍼프 페이스트리 안에 꿀이나 당밀 등이 들어 있다.[170][171] | |
톄단/티능 | 단수이구 | 달걀이나 오리알 등의 새알을 여러 가지 향신료와 함께 뭉근히 삶아 익힌 뒤 자연건조시키기를 반복한 음식이다. 짙은 색의 쫄깃쫄깃한 새알이 된다. | |
헤진바우안/샤런러우위안 | 타이난시 | 타이난에서 가장 유명한 요리 중 하나이다. | |
훠지러우판/후에께바쁭 | 자이현 | 잘게 찢은 칠면조고기를 얹은 덮밥이다. 차이뽀를 곁들이며, 칠면조 밥그릇에 종종 절인 무를 곁들인다. 칠면조 기름과 간장으로 만든 그레이비를 밥에 뿌려 만든다.[172] | |
히우안/위완 | 단수이구 | 생선완자이다. 고기와 마늘을 넣어 담백한 육수에 익힌다.[173] |
대만에는 불교와 일관도 등의 영향으로 다양한 채식 요리가 있는 채식 전문 식당이 흔하다.[15] 이러한 채식 식당은 뷔페식, 무게 단위 계산 방식, 일반 메뉴 주문 방식 등 다양한 형태를 띤다. 채식 식당과 음식은 종종 왼쪽을 향한 만자(卍) 표시로 표기된다.[34]
21세기 들어 대만에서는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종교적 이유가 아닌 채식주의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동물 복지, 건강, 환경 지속 가능성, 기후 변화에 대한 우려로 비건도 증가하고 있다.[35] 대만의 전통 채식 제품 회사들은 인조 고기 시장으로 진출했으며, 대만 기업들은 경쟁력을 확보하여 현재 인조 고기 부문의 시장 선두주자 중 하나가 되었다. 대만 기업들은 유럽, 북미, 동남아시아 시장을 중심으로 상당한 수출을 하고 있으며, 홍양푸드(Hung Yang Foods)는 매출의 80%를 해외에서 올리고 있다.[36]
2023년 기준으로 대만에는 약 6,000개의 채식 식당이 있었다.[37]
지역 | 음식 | 한자 | 타이완어 (Tâi-lô) | 설명 | 사진 |
---|---|---|---|---|---|
창화현 | 바완 | bah-ôan | 직역하면 고기 공이라는 뜻입니다. 타피오카 전분으로 만든 젤리 같은 큰 만두의 일종으로, 돼지고기와 채소, 가장 일반적으로 버섯과 대나무 새싹을 채워 넣습니다.[52] | ||
자이시 | 칠면조 덮밥 | hoe-koe bah-pn̄g | 찢은 칠면조 고기를 밥 위에 얹은 덮밥으로, 종종 절인 무를 곁들입니다. 밥 위에는 칠면조 기름과 간장으로 만든 일종의 육수를 뿌립니다.[38] | ||
자이시/타이난시 | 관재판 | koann-chhâ-páng | 프렌치토스트나 브레드볼 수프와 비슷하지만, 후추 소고기나 카레 치킨과 같은 짭짤한 속을 채웁니다. 두꺼운 빵을 계란에 적셔 튀긴 후 세 방향으로 잘라 열고 속을 채워 먹습니다.[39] | ||
다시구 | 다시 건조 두부 | Tāi-khe tāu-koaⁿ | 단단한 두부를 달콤한 간장 소스에 튀기고 끓인 다음 말린 것입니다.[40] [41] | ||
신주시 | 미트볼 | kòng-ôan | 종종 수프 (湯중국어; thng)에 넣어 먹습니다.[42] | ||
신주시 | 쌀국수 | 米粉중국어 | bí-hún | 얇고 쫄깃한 쌀국수입니다. 종종 버섯과 다진 돼지고기와 함께 마른( 乾중국어; ta/kan, 수프 없이) 상태로 먹습니다.[43] | |
난터우현 | 위면 | ì-mī | 수프에 들어가는 부드러운 면입니다. | ||
타이중시 | 선케이크 | 타이중에서 가장 유명한 페이스트리 중 하나인 선케이크는 층층이 겹친 구운 퍼프 페이스트리로, 종종 꿀이나 당밀로 만든 달콤한 속을 가지고 있습니다.[44][45] | |||
타이난시 | 뱅어조기 죽 | 뱅어조기 배를 넣은 죽으로 구성된 아침 식사 메뉴입니다. | |||
타이난시 | 타아미 | tàⁿ-á-mī | 빈둥지기 국수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다진 돼지고기, 새우, 숙주나물, 고수, 검은 식초, 마늘, 간장, 계란과 함께 제공되는 노란색 기름 국수입니다.[52] | ||
타이난시 | 새우와 돼지고기 미트볼 | 蝦仁肉丸중국어 | hê-jîn bah-ôan | 새우 크래커/비스킷은 가장 유명한 지역 요리 중 하나입니다. 타이난에서 유래한 또 다른 인기 있는 요리는 기름진 밥( 台南油飯중국어; Tâi-lâm iû-pn̄g)으로, 감칠맛 나는 기름과 찢은 돼지고기, 식용 버섯, 말린 새우가 들어간 밥 요리입니다.[46] | |
담수구 | 아게이 | a-geh | 튀긴 두부에 유리 국수를 채우고 생선 페이스트로 봉한 후 매운 소스를 뿌린 음식입니다.[47] | ||
담수구 | 담수 어묵 | hî-ôan | 담수는 바다 근처에 있으며 고기와 마늘을 채운 생선 페이스트 어묵을 가벼운 국물에 끓여 먹는 것으로 유명합니다.[48] | ||
담수구 | 철란 | thih-nn̄g | 여러 번 향신료를 섞어 삶고 공기 중에 말린 달걀입니다. 결과적으로 달걀은 진한 갈색을 띠고 쫄깃하며 일반 삶은 달걀보다 풍미가 더 좋습니다.[52] 일반 삶은 달걀과 함께 찍은 사진입니다. | ||
일란현 | 땅콩 아이스크림롤 | |huāshēng juǎn bīngqílín | 파인애플, 타로 또는 땅콩 아이스크림을 채운 얇은 크레페에 깎은 엿 땅콩과 고수를 뿌린 음식입니다. |
대만에서 가장 유명한 간식들은 야시장에서 찾아볼 수 있다. 길거리 노점상들은 다양한 음식을 판매하며, 야시장에서는 튀김과 찐 고기 만두, 굴 오믈렛, 과일 아이스 등을 비롯해 훨씬 더 많은 것을 찾을 수 있다. 야시장에서는 간식, 전채 요리, 메인 요리, 디저트 외에도 의류, 액세서리를 파는 노점상들도 있으며, 모든 종류의 오락과 상품을 제공한다.[56] 길거리 노점상들은 과거 대만 전역에서 흔히 볼 수 있었지만, 규제 강화와 식품 안전 문제로 인해 현재는 야시장과 푸드코트에서 주로 찾아볼 수 있다. 대만 푸드코트는 전통 야시장의 아이디어와 미국과 일본의 아이디어를 결합한 곳으로, 대만 전역에 널리 퍼져 있다. 많은 야시장 음식들을 이제 야시장 밖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55]
2014년, 가디언은 대만의 야시장을 "세계 최고의 길거리 음식 시장"이라고 불렀다.[56] 시린 야시장과 같이 일부 야시장은 현지인보다 관광객들에게 더 인기가 많아져 상업화로 인해 본래의 맛을 잃었다는 불만이 제기되고 있다.
일반적인 영어 용어 | 한자 | 대만어(Tâi-lô) | 중국어 병음 | 영향 | 설명 | 사진 | |
---|---|---|---|---|---|---|---|
타코야키 | 章魚燒 | 일본 | 다진 문어를 밀가루 반죽에 넣어 공 모양으로 튀긴 간식으로, 와사비와 같은 양념과 함께 먹을 수 있습니다. 야시장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57] | ||||
와플 | 車輪餅 | chhia-lûn-piáⁿ | chēlúnbǐng | 일본 | 뜨거운 금속 틀에 팬케이크 반죽을 붓고 빠르게 조리하여 다양한 모양의 작은 케이크로 만듭니다. 수많은 변형이 존재합니다. 케이크에는 크림, 팥, 땅콩 버터 등의 다양한 속이 들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마가와야키 또는 타이야키와 유사합니다. | ||
취두부 | 臭豆腐 | chhàu-tāu-hū | chòudòufǔ | 중국 | 취두부는 대만에서 인기 있는 음식입니다. 강한 불쾌한 냄새 때문에 "취두부"라고 불립니다.[52] 청나라 시절 이미 왕실의 식단에 포함되어 있었으며, 서태후의 가장 좋아하는 음식 중 하나이기도 했습니다. 취두부는 일반적으로 부드러운 취두부(臭豆腐乳)와 건조한 취두부(臭豆腐乾)의 두 가지 주요 종류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 ]] | |
대만식 미트볼 | 肉圓 | bah-oân | ròuyuán | 현지 | 돼지고기, 죽순, 표고버섯으로 채운 끈적끈적한 젤라틴 타피오카 반죽으로, 감칠맛 나는 달콤하고 매운 소스와 함께 제공됩니다. | ||
옥수수 | 玉米 | yùmǐ | 미국 | 판매자는 한 가지 종류의 옥수수를 전문으로 취급하거나, 짭짤한 옥수수와 단 옥수수를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습니다. 옥수수는 쪄서, 구워서, 삶아서 등 다양한 방법으로 조리합니다. | |||
대만 소시지 | 香腸 | ian-chhiâng (煙腸) | xiāngcháng | 중국 | 약간 달콤한 맛의 기름진 돼지고기 소시지입니다.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고량주를 소시지 레시피에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야시장에서는 다양한 양념과 함께 꼬치에 꽂아 제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때로는 찹쌀에 싸서 제공하기도 합니다. 1980년대 초, 자원이 상대적으로 부족했던 시절에는 이쑤시개에 꽂은 소시지 하나에 마늘 한 쪽을 곁들여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습니다. | ||
파 빵 | 蔥油餅 | cōngyóubǐng | 중국 | 많은 얇은 층으로 만들어진 쪽파(다진 쪽파)를 넣은 파 밀가루 팬케이크입니다. 치즈와 계란은 인기 있는 추가 속입니다.[52] 중국에서 유래한 간식입니다. | |||
탕후루 | 糖葫蘆 | tánghúlú | 중국 | 빨간 사탕으로 코팅된 한입 크기의 과일을 꼬치에 꽂아 제공합니다. 과일에 말린 자두를 채운 다음 사탕을 입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체리 토마토와 딸기도 사용됩니다. | |||
구운 오징어 | 烤花枝 | kǎo huāzhī | 일본 | 구울 때 종종 양념에 재워서 구운 오징어입니다. | |||
빙수 | 礤冰/剉冰/刨冰 | chhoah-peng | cuòbīng/bàobīng | 현지 | 다양한 토핑(땅콩, 과일, 팥, 단 옥수수 등)이 들어간 아주 잘게 간 얼음입니다. 연유를 뿌려 제공하는 경우도 있습니다.[52] | ||
오뎅 | 甜不辣 | tiánbùlà | 일본 | 튀긴 수산가공품과 어묵을 국물에 끓여 달콤한 소스와 함께 제공합니다. 일본의 사츠마아게와 유사하며, 일본 일부 지역에서는 덴푸라라고 부릅니다. 그러나 일본 덴푸라와는 관련이 없으며, 일본 오뎅과도 유사합니다.[52] | |||
대만식 춘권 | 潤餅 | jūn-piáⁿ / lūn-piáⁿ | rùnbǐng | 복건 | 대만식 춘권은 설탕 가루, 땅콩 가루, 계란, 채소, 돼지고기, 심지어 해산물까지 다양한 속을 넣은 반죽으로 만든 반죽입니다. 대만식 춘권은 서양식 크레페와 같은 반죽으로 만들어집니다. | ||
샤와르마 | 沙威馬 | shāwēimǎ | 서아시아 | 보통 양념을 한 구운 닭고기로 만들어진 샌드위치로, 발효된 밀가루 빵에 주리엔한 양배추, 토마토 한 조각, 다진 양파, 케첩과 마요네즈와 함께 제공됩니다. 수십 년 전 터키에서 들어왔으며, 터키에서 만드는 샤와르마의 양념과는 상당히 다릅니다. | |||
팝콘 치킨 | 鹹酥雞/鹽酥雞 | kiâm-so͘-ke / kiâm-so͘-koe | xiánsūjī / yánsūjī | 미국 | 소금과 후추를 뿌리고 향긋하게 조리한 바질로 양념한 양념된 닭고기를 튀긴 팝콘 치킨입니다. 육즙이 많고 부드러운 식감으로 모든 사람에게 사랑받는 맛있는 간식입니다.[52] | ||
닭튀김 필레 | 炸雞排 | zhá jīpái | 미국 | 닭튀김 필레는 대만에서 가장 인기 있는 간식 중 하나입니다.[52] 닭튀김 필레는 20년 전에 처음 대만에 등장했지만, 판매자들이 새로운 맛과 조리법을 만들어내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해 왔습니다. 대부분의 패스트푸드 레스토랑에서 제공되는 닭튀김과 달리, 이 간식은 납작하게 두들겨서 양념하고, 튀김옷을 입혀 튀긴 닭가슴살로 만들어집니다. 조리 후 후추 가루를 넉넉히 뿌립니다. 바삭한 겉과 부드럽고 촉촉한 속이 특징입니다. | |||
육송 또는 돼지고기 풀 | 肉鬆중국어 | Ròusōng | 중국 | ||||
- 버블티 가판대부터 다양한 주스와 차 가판대까지 다양한 음료도 판매됩니다.[52]
- 크레페 - 원래 프랑스식 버전에서 각색된 얇은 구운 팬케이크로, 크래커와 같은 매우 바삭한 식감을 가지고 있습니다. 2000년대 초반에 인기가 많았습니다.
- 과일 또는 콩 스무디 - 신선한 파파야, 망고, 수박, 팥, 또는 녹두를 우유 또는 얼음과 함께 바로 갈아서 만듭니다.
- 튀긴 찹쌀떡 - 약간 달콤합니다.
대만의 음식과 음식 문화는 매우 다양하며 한족의 이주로 인해 큰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대만 음식 문화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대만 원주민의 음식 문화이다. 원주민 인구는 대만 전체 인구의 약 1.5%에 불과하지만,[58] 그들의 음식과 조리법은 일반적인 중국식 영향을 받은 요리와 구별된다.
원주민의 식단은 자연에 크게 의존한다. 풍부한 식물과 야생 동물이 있어 원주민들은 자연스러운 수렵 채집인이었다. 기본적으로 원주민들이 먹는 음식의 대부분은 해안 지역이나 산악 지역에 살았는지 여부와 같이 그들의 환경에 따라 달랐다.[59] 아미족, 아타얄족, 사이샤트족, 부눈족과 같은 부족들은 사냥할 수 있는 것은 사냥하고, 재배할 수 있는 것은 채집한다. 반면에 야미족과 타오족과 같은 부족들은 생선을 주된 식량원으로 삼는다. 대부분의 음식은 기장, 타로, 고구마, 야생 채소, 멧돼지와 쥐와 같은 사냥감으로 구성되었다. 이는 쌀과 닭고기를 주식으로 하는 한족의 주요 식단과 대조적이다.
산악 지역에 사는 사람들의 사냥감 고기에는 사슴과 부눈족이 별미로 여기는 날다람쥐 내장이 포함된다. 또 다른 것은 썩기 시작한 '구더기 든 고기' 즉 '썩은 고기'인데, 이것은 바비큐를 하거나 튀긴 후 마늘과 생강으로 양념하고 매운 소스와 함께 제공된다.[60]
아미족은 고기 외에도 많은 채소를 먹었는데, 소가 먹는 것은 사람도 먹을 수 있다는 믿음 때문이었다. 주로 야생 동물을 사냥하는 부눈족은 돌판에 구운 돼지고기, 멧돼지, 사슴, 돼지 통구이를 먹었다. 타이둥 해안에 위치한 야미족은 '날치'(또는 알리방방)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생선을 먹었다. 특선 요리로는 쌀과 강 생선, 야생 채소를 섞어 큰 대나무 통에 담아 제공하는 것이 있다.
기장은 주식일 뿐만 아니라 항상 술로 만들어졌다. 마시는 용도 외에도 기장주는 축제, 출산, 결혼식에서 제물로 사용되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기장주는 모두 원주민의 가정에서 만들어진다. 찹쌀은 물에 담근 후 나무찜기에 넣는다. 식힌 후 쌀을 물에 넣었다가 꺼내 쌀 누룩과 섞는다. 큰 항아리에 4~5일 동안 놓아둔 후, 쌀을 체나 쌀주머니에 넣으면 알코올 성분의 액체가 떨어져 보관된다.
대만 원주민 요리에서 또한 중요한 것은 다년생이고 관리가 쉬운 고구마와 타로이다. 전형적인 묘목 식물이 아닌 뿌리 채소의 재배가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신베이시 관음산 다펀컹 유적지에서 기원전 4천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두 가지 채소 모두 다용도로 사용되어 보통 삶거나 쪄서 그 자체로 먹거나 수프와 스튜의 재료로 사용되었다. 고도의 농업 기술이 필요 없었기 때문에 타로와 고구마는 농사짓기에 가장 좋은 작물이었다. 캐나다 선교사 조지 맥케이는 19세기 대만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고구마 덩이줄기는 3월에 심는다. 약 6주 후에 포도나무를 20cm 길이로 잘라 구멍에 심으면, 이 덩굴에서 덩이줄기가 자라 6월 말쯤에 수확한다. 7월에 비슷한 방법으로 두 번째 작물을 심어 11월에 수확한다." [61] 고구마와 타로의 영향은 엄청났다. 이들은 거리, 야시장, '미트 프레시'(鮮芋仙)와 같은 성공적인 음식 체인점에서 여전히 널리 사용되고 있다.
냉장고, 가스레인지, 오븐과 같은 현대적인 조리 도구가 없었기 때문에 원주민들은 음식을 준비하는 다른 방법을 사용했다. 사냥한 고기를 가져오면 기장주나 소금으로 고기를 보관했다. 또 다른 조리법은 돌을 불에 달구어 용기에 특정 고기와 해산물과 함께 넣어 돌의 열로 익히는 것이었다. 음식은 주로 찌거나 삶거나 굽는 방식으로 만들어져 풍미를 더하면서도 원래의 풍미를 보존했다. 이것은 볶고 끓이는 기술을 채택한 한족과 대조적이다.[62] 고기는 대나무 꼬챙이에 꿰어 불에 구웠다.
대만 원주민 요리는 한족 영향을 받은 요리와는 다른 독특한 풍미를 지니고 있다. 산후추(중국어로는 ''산후자오'', 아타얄족 용어 ''maqaw''에서 유래한 ''magao'')가 그러한 독특한 재료 중 하나이다.[63]
2000년에 CIP와 국립가오슝관광대학에서 발행한 요리책에는 주요 대만 원주민 부족의 음식이 나와 있으며, 원주민들이 자연 식품에 대한 충실함과 열정을 보여준다.
- 아미족: 알리봉봉(잎에 싸인 고기와 찹쌀 만두)(阿里鳳鳳); 야생 채소 볶음
- 아타얄족: 돌판 구이(石板烤肉); 랑잉(찐 찹쌀떡)(朗應)
- 부눈족: 부눈 기장 떡(布農粿); 기장밥(小米飯)
- 파이완족: 기장 치나푸(기장과 돼지고기 경단)(小米奇那富); 찐볼레(수수와 돼지고기 만두를 바나나 잎에 싼 것)(金伯樂)
- 푸유마족: 이나페이 산악 떡(以那馡山地粿); 바질을 곁들인 튀긴 야생쥐(九層野鼠)
- 루카이족: 치나부(타로와 고기 만두)(奇那步); 구운 멧돼지
- 사이샤트족: 파파야를 곁들인 구운 멧돼지(木瓜拌山豬肉); 야생화 모듬(野花拼盤); 카사바와 갈비탕(樹薯排骨湯)
- 초우족:
8. 대만 요리와 한국
대만 요리는 중국 요리보다 달고, 일본 요리보다 짠맛이 덜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 중국 요리와의 주된 차이는 "단맛"에 있다.
: 자극적인 양념을 많이 사용하는 중국 요리와 달리, 대만 요리는 섬세하고 담백한 맛이 주류이며, 볶음 요리를 제외한 요리는 기름기를 의도적으로 줄인다. 여러 명이 한 탁자에 둘러앉아 천천히 먹는 중국 요리와 달리, 대만 요리는 편하게 먹을 수 있는 B급 음식으로 발전하는 경우가 많다. 길거리 음식을 먹거나, 야시장의 테이블에서 빨리 먹거나, 한 가지 요리로 제공되는 것이 가장 큰 차이점이다. 또한, 중국의 약선 요리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기름에 튀긴 한방 계열의 채소를 많이 사용하며, 일반 향신료보다 약재의 향이 강하다고 알려져 있다.[154]
; 일본 요리와의 주된 차이는 "짠맛의 부족"에 있다.
: 대만 사람들은 건강을 의식하기 때문에, 채식 요리를 제외한 요리에서는 염분을 가능한 한 피한다. 일본 요리와 공통점이 많은 것도 있지만, 그것은 대만총독부 시대의 영향이었다. 일본 메이지 시대·다이쇼 시대의 다시, 가쓰오부시, 간장, 된장, 표고버섯, 건어물, 절임 등의 일본식 식품은 대만에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대만의 일본식 중국 요리에 친숙함을 느끼는 일본인이 많다. 그러나 옛 일본의 양념이 기원이기 때문에, 현대 일본 요리와 맛이 다른 경우도 있다. 대만 언론인 『삼립신문망』(三立新聞網)에 따르면, "대만 사람들은 일본 음식에 익숙해지면, 대만에 돌아왔을 때 대만 요리의 맛을 느끼지 못한다…"라고 보도되었는데, 이것은 대만 요리가 얼마나 싱거운지 알 수 있다.[154]
전반적인 인상으로는, 본토 중국 요리나 일본 요리보다 갈색이나 베이지색·아이보리색 음식이 압도적으로 많으며, 이것은 중국의 한방, 일본의 다시, 그리고 찹쌀의 다량 사용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다. 대만 요리는 중국 요리와 일본 요리의 중간과 같은 특징을 가지는 한편, 양국 요리와는 전혀 다른 음식도 많이 존재한다.
9. 현대 대만 요리의 발전
대만 사회는 이민자 사회의 특징을 지니므로, 대만 요리의 뿌리는 원주민 요리지만, 현재 대만 요리에는 원주민 요리의 전통이 제한적으로 나타난다. 이민자 중 인구가 많은 중국계 요리, 특히 푸젠 요리와 하카 요리가 대만 요리의 기반을 이룬다. 인구가 적은 대만 원주민들의 요리는 향토 요리 등으로 남아 있다.[2][3][113][4]
대만 요리에는 중국 각지의 요리 전통이 융합되어 있다. 샤먼, 취안저우, 장저우 등 푸젠 요리가 원주민 요리와 융합되어 대만 요리의 기반을 이루었으며, 광둥의 하카인이나 중국 남부 한족 등 여러 이민자 요리의 영향을 받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국민당과 함께 중국 대륙 각지의 사람이 대만에 건너오면서, 베이징, 상하이, 쓰촨, 광둥 요리 등 고급 중국 요리가 대만에서 발전하게 되었다.
50년간 일제 식민지배 시대를 거치면서 일본 요리의 영향도 받았다. 특히 메이지, 다이쇼 시대 일본 요리의 영향이 강하게 드러나며, 오뎅, 덴푸라, 사시미, 스시, 미소시루, 카레라이스, 사케 등의 메뉴가 존재한다. 대만의 스시는 니기리즈시 외에 이나리즈시나 후토마키가 일반적이며, 스메시는 식초 간이 약하게 되어 있다. 집에서도 중국식 주요리에 이나리즈시와 미소시루 등의 일본 음식을 곁들이기도 한다.
허위웬(Katy Hui-wen Hung)에 따르면, "대만 음식의 역사는 대만 정치만큼이나 불투명하다"고 한다. 이는 대만 요리가 이주와 식민화 패턴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지역 및 국제적인 대만 요리와 그 역사는 정치적으로 논쟁적인 주제이다.[7] 대만과 중국 간의 긴장된 정치 관계 또한 역사를 복잡하게 만든다.
대만 요리사 푸페이메이(傅培梅)에 따르면, 진정한 중국 요리 전통은 대만에서 제대로 보존되었다고 한다. 푸페이메이 세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이러한 진정성에 대한 주장은 국민당의 중국 민족주의 정치 메시지 때문이었는데, 이는 요리를 훨씬 넘어섰다.[6] 대만에서 지역 중국 요리의 진정성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7]
일부 자료에서는 컵라면의 기원을 대만의 쥐쓰면(雞絲麵)으로 추적하는데, 특히 1951년 칭지 아이스 디저트 파르르(慶記冰菓室)에서 돼지 기름에 튀긴 후 물에 끓여서 제공하는 변형이 소개되었다. 컵라면의 상업화 이후, 유니프레시던트를 포함한 대만 기업들이 등장했다. 1973년 위리푸드산업(味勵食品工業)은 "드라이" (국물 없이 또는 국물을 따로 제공하는)로 섭취하도록 고안된 최초의 포장 컵라면을 출시했다.[8]
대동 전기 찜기는 1960년대에 출시되어 대만 가정과 식당 주방의 주요 기구가 되었다.[9] 20세기 동안 푸드코트의 보급은 전통적인 노점상과 판매자들을 공식화했다. 푸드코트는 대만 전역에 확산된 쇼핑몰과 쇼핑센터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2002년 대만의 세계무역기구 가입은 대만 농민들이 세계 시장과 경쟁하도록 강요했다. 많은 농민들은 주요 작물에서 주로 국내 소비를 위한 고급 및 틈새 상품으로 전환하여 대응했다. 농촌 관광 또한 더욱 광범위하게 채택되었으며, 농장 방문객들에게 농장 제품을 사용한 요리를 제공하거나 조리 방법을 가르치는 경우가 많았다.[10]
21세기 초, 지속 가능성과 지역 음식에 대한 아이디어가 대만 요리 및 농업계에서 더욱 두드러졌다.[11] 음식의 역사를 이해하고 원주민 식문화를 주류 대만 요리에 통합하는 데 더욱 중점을 두었다.[7]
참조
[1]
웹사이트
A taste of Taiwan, from comforting noodles to spicy broths
https://web.archive.[...]
2023-05-12
[2]
웹사이트
Food, Politics and Solidarity Economies in Taiwan
https://taiwaninsigh[...]
University of Nottingham Taiwan Studies Programme
2022-02-08
[3]
웹사이트
16 Dishes That Define Taiwanese Food
https://www.eater.co[...]
2019-03-06
[4]
뉴스
In a Tense Political Moment, Taiwanese Cuisine Tells Its Own Story
https://www.nytimes.[...]
2022-08-16
[5]
웹사이트
Origins of Taiwanese Fusion Cuisine: It's Not That Simple
https://internationa[...]
2017-03-19
[6]
서적
Culinary nationalism in Asia
https://www.worldcat[...]
2019
[7]
뉴스
What Cuisine Means to Taiwan's Identity and Its Clash With China
https://www.nytimes.[...]
2023-08-08
[8]
웹사이트
Tradition and Innovation: The Protein Power of Instant Noodles
https://internationa[...]
2024-02-06
[9]
웹사이트
Forget the Instant Pot, Taiwanese steamer Tatung makes everything from fish to rice to cake – and at last it's easier to buy in the US
https://www.scmp.com[...]
2022-10-02
[10]
웹사이트
Plenty to Chew on at the Taiwan Culinary Exhibition
https://topics.amcha[...]
2023-07-13
[11]
웹사이트
Green Dining Gains Recognition in Taiwan
https://topics.amcha[...]
2023-01-31
[12]
웹사이트
A Rice Renaissance
https://www.taiwan-p[...]
[13]
뉴스
History behind Taiwanese cuisine revealed
https://www.taipeiti[...]
2014-10-30
[14]
웹사이트
Groupers help boost nation's aquaculture industry
https://taiwantoday.[...]
2009-07-31
[15]
서적
The Religious Question in Modern China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6]
웹사이트
Decoding Dumplings in Taiwan
https://topics.amcha[...]
2023-01-11
[17]
웹사이트
Taiwan Country Profile
https://www.foodexpo[...]
[18]
웹사이트
In New York, Taiwanese Chefs Are Attempting To Define Their Cuisine
https://www.vice.com[...]
2022-05-04
[19]
웹사이트
What is Parsley?
https://recipes.hows[...]
2007-11-21
[20]
웹사이트
Taiwanese basil is more than a garnish — it's the main event
https://www.sbs.com.[...]
2021-10-27
[21]
웹사이트
A taste of Taiwan, from comforting noodles to spicy broths
https://web.archive.[...]
2023-05-12
[22]
웹사이트
Sweet and sour pineapple prawns
https://www.bbc.com/[...]
2023-09-22
[23]
웹사이트
Black Vinegar Doesn't Just Season a Dish–It Transforms It
https://www.bonappet[...]
2021-05-29
[24]
웹사이트
Taiwanese Soy Paste Is the Sweet, Glossy Base of My Favorite Sauces
https://www.bonappet[...]
2023-01-25
[25]
웹사이트
How Did Taiwan Become an Eaters' Paradise?
https://www.taiwanne[...]
2023-08-12
[26]
웹사이트
Popular Food Culture in Taiwan
http://www.gio.gov.t[...]
Government Information Office
[27]
웹사이트
Why Taiwanese People Love Outdoor Grilling
https://www.kqed.org[...]
2023-07-26
[28]
뉴스
Taiwanese cuisine's delicious secret set to emerge: Cheap and cheerful rechao restaurants are a cultural institution
https://asia.nikkei.[...]
2019-02-12
[29]
간행물
Midnight in Taipei
https://www.theworld[...]
2020-09-05
[30]
간행물
Move Over, Night Markets—Why Rechao Restaurants Are the Place to Be in Taiwan. Across Taiwan, rechao restaurants offer diners noisy, communal, no-frills, and positively joyful eating experiences.
https://www.afar.com[...]
2023-05-02
[31]
웹사이트
Chef Summit Held In Taiwan: Asia's Biggest Culinary Event Of 2020
https://www.forbes.c[...]
[32]
웹사이트
Taiwan local street banquet chefs hit hard by dampened Chinese New Year festivities amid COVID-19
https://www.channeln[...]
[33]
웹사이트
Netizens complain of boring Taiwanese banquet dishes
https://www.taiwanne[...]
2023-01-04
[34]
웹사이트
Hungry for Kosher Food in Taiwan? Look for the Swastikas.
https://www.tabletma[...]
2018-02-22
[35]
웹사이트
Taiwan's Vegetarian Awakening
https://www.taiwan-p[...]
[36]
웹사이트
Meeting New Demand for Vegetarian Foods
https://www.taiwan-p[...]
2021-01-29
[37]
웹사이트
Taiwan's meatless success a vegetarian paradise
https://www.taiwanne[...]
2023-08-24
[38]
웹사이트
The saucy comforts of Taiwanese turkey rice
https://thetakeout.c[...]
2020-09-29
[39]
웹사이트
Taiwan's Coffin Bread Perfects the Art of the Bread Bowl
https://www.saveur.c[...]
2020-01-28
[40]
웹사이트
2019 Daxi Dried Tofu Festival Opening Ceremony
https://travel.tycg.[...]
2021-01-29
[41]
웹사이트
Daxi Old Street 大溪老街
http://www.foreigner[...]
2024-07-30
[42]
웹사이트
Hsinchu Meatballs
http://edu.ocac.gov.[...]
2021-01-29
[43]
웹사이트
From chow mein to udon: A beginner's guide to Asia's best noodles
https://www.cnn.com/[...]
2021-01-29
[44]
웹사이트
'Buy one and get one free' at Pastry Festival in central Taiwan
https://www.taiwanne[...]
2021-01-29
[45]
웹사이트
Historic pastry shop burns down in central Taiwan
https://www.taiwanne[...]
2021-01-29
[46]
웹사이트
Gallery: 25 Things You Must Eat in Tainan, the Culinary Center of Taiwan
https://www.seriouse[...]
2021-01-29
[47]
웹사이트
A-Gei
https://tour.ntpc.go[...]
2020-09-29
[48]
웹사이트
Taiwan's northern tip: weird nature, wonderful street food
https://www.scmp.com[...]
2021-01-29
[49]
뉴스
Oyster omelet the nation's favorite
http://www.taipeitim[...]
2007-06-02
[50]
서적
Tea: The drink that changed the world
Tuttle Publishing
[51]
웹사이트
Taiwan Food Guide 外國人最愛的台灣食物
http://www.foreigner[...]
2024-07-30
[52]
웹사이트
40 of the best Taiwanese foods and drinks
https://www.cnn.com/[...]
2020-09-29
[53]
웹사이트
Tree to bar to gold
https://www.taipeiti[...]
2020-09-25
[54]
웹사이트
A Sweet Vision: Taiwanese Chocolate's Road to the World
https://www.taiwan-p[...]
2019-12-10
[55]
웹사이트
From Night Market Treats to Food Court Fine Dining
https://internationa[...]
2023-08-24
[56]
웹사이트
Taiwan, home to the best street food markets in the world
https://www.theguard[...]
2020-04-27
[57]
뉴스
In Taiwan, top chefs are building on a long history of culinary exchange with Japan
https://www.japantim[...]
2018-09-05
[58]
논문
Traces of Archaic Mitochondrial Lineages Persist in Austronesian-Speaking Formosan Populations
2005-07-05
[59]
웹사이트
Indigenous Food: The Authentic Flavors of Taiwan
http://www.taiwan-pa[...]
2024-03-05
[60]
웹사이트
Aboriginal Cuisine Comes to Town
https://taiwanreview[...]
2024-03-05
[61]
서적
From far Formosa : the island, its people and missions
http://archive.org/d[...]
Edinburgh : Oliphant Anderson and Ferrier
1896
[62]
논문
Embodying nation in food consumption : changing boundaries of "Taiwanese cuisine" (1895-2008)
https://hdl.handle.n[...]
2010-06-15
[63]
서적
A Culinary History of Taipei: Beyond Pork and Ponlai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8-10-08
[64]
논문
"Someone Else's Land is Our Garden!": Risky Labor in Taipei's Indigenous Food Boom
https://www.jstor.or[...]
2018
[65]
웹사이트
Eating local in indigenous Taitung
https://www.taipeiti[...]
2022-11-18
[66]
웹사이트
Taiwan's 'godmother of wild greens'
https://www.taipeiti[...]
2022-05-05
[67]
웹사이트
Restaurants: Modern Aboriginal cuisine
https://www.taipeiti[...]
2023-08-24
[68]
웹사이트
Highways & Byways: Taiwan's boozy past and present
https://www.taipeiti[...]
2021-05-06
[69]
웹사이트
How Taiwanese craft beers are finding fans in Asia and the West
https://www.scmp.com[...]
2020-07-28
[70]
웹사이트
FEATURE: Growers along Tainan's 'Coffee Road' want to put local brew on national map
https://www.taipeiti[...]
2021-02-17
[71]
웹사이트
Coffee culture booms in Taiwan
https://www.efe.com/[...]
2020-11-30
[72]
웹사이트
Coffee culture on the rise in Taiwan
https://www.thejakar[...]
2020-07-28
[73]
웹사이트
Coffee consumption exceeds that of tea for the first time
https://taipeitimes.[...]
2021-08-31
[74]
웹사이트
Kaoliang serves Kinmen a tasty future
https://taiwantoday.[...]
2011-03-18
[75]
웹사이트
嘉義酒廠目前主力產品
https://event.ttl.co[...]
[76]
웹사이트
八八坑道高粱酒官方網站
http://www.tunnel88.[...]
[77]
웹사이트
Yo-ho-ho and a bottle of Koxinga Gold rum
https://taiwantoday.[...]
2011-07-29
[78]
웹사이트
Will Japanese whisky be eclipsed by Taiwan? The island's gin and rum also show promise – with one distillery promising spirits 'good enough for God'
https://www.scmp.com[...]
2021-06-06
[79]
웹사이트
Exploring the World of Taiwanese Tea
https://topics.amcha[...]
2020-07-09
[80]
웹사이트
Can Taiwan's premium gin producers take on the world – and Taiwanese drinkers who prefer foreign liquor?
https://www.scmp.com[...]
2019-10-06
[81]
웹사이트
Tropical terroir made to produce award-winning wines
https://www.beverage[...]
2020-05-05
[82]
웹사이트
Vina Formosa comes of age
https://www.taipeiti[...]
2020-03-21
[83]
웹사이트
Taichung red wine wins gold medal in France
https://www.taipeiti[...]
2019-03-10
[84]
웹사이트
Why Hong Kong connoisseurs – and Michelin-star chefs – are taking note of Taiwan's wines
https://www.scmp.com[...]
2019-09-14
[85]
웹사이트
Taiwan's award-winning winemaker aims to revive fading tradition
https://www.thejakar[...]
2020-08-07
[86]
웹사이트
Taiwan sake boom starts to challenge Japanese traditions
https://asia.nikkei.[...]
2022-03-14
[87]
웹사이트
Beyond the Michelin Guide: What Is Real Taiwanese Gourmet?
https://internationa[...]
2020-09-25
[88]
웹사이트
Taiwan chefs go back to island's roots
https://asia.nikkei.[...]
2023-08-13
[89]
웹사이트
10 Taiwan restaurants listed among world's top 1000 by La Liste
https://www.taiwanne[...]
2018-12-15
[90]
웹사이트
Michelin Announces 2020 Stars for Taiwan
https://www.eater.co[...]
2020-08-25
[91]
웹사이트
Michelin Guide releases Bib Gourmand list for Taipei, Taichung
https://focustaiwan.[...]
2020-08-11
[92]
웹사이트
6 of the best fine-dining restaurants in Taiwan's capital, Taipei, for Taiwanese, Japanese, Cantonese and Huaiyang cuisine
https://www.scmp.com[...]
2023-02-15
[93]
웹사이트
Michelin reveals Taiwan's Bib Gourmand eateries
https://www.taipeiti[...]
2023-08-24
[94]
웹사이트
Michelin Guide Taiwan – Taipei vs. Taichung
https://topics.amcha[...]
2021-01-15
[95]
웹사이트
Where to eat and drink in Taichung, Taiwan's up-and-coming fine-dining hub – from Michelin-star yakiniku to a French bistro by former Asia's Best Female Chef winner
https://www.scmp.com[...]
2023-03-07
[96]
웹사이트
Origins of Taiwanese Fusion Cuisine: It's Not That Simple
https://internationa[...]
2017-03-19
[97]
웹사이트
Discovering a Little Italy in Taipei
https://topics.amcha[...]
2018-01-12
[98]
웹사이트
An Italian Entrepreneur Realizing 'His Meaning of Life' in Taiwan
https://english.cw.c[...]
2020-09-26
[99]
웹사이트
A Golden Era for Pizza in Taiwan
https://topics.amcha[...]
2022-01-17
[100]
웹사이트
Indian Cuisine Heats Up in Taipei
https://topics.amcha[...]
2018-01-19
[101]
웹사이트
In Taipei, Indian food makes for good business
https://indianexpres[...]
2021-12-18
[102]
웹사이트
Taiwan's Café Astoria inherits spirit of Russia
https://www.taiwanne[...]
2020-06-20
[103]
웹사이트
How this young Singaporean chef is making culinary waves in Taiwan
https://cnaluxury.ch[...]
2019-12-31
[104]
웹사이트
Asia's Highest Climber Mume brings Taiwanese produce into the global spotlight
https://www.theworld[...]
2020-09-26
[105]
웹사이트
Hong Kong protesters revolutionize Taiwan restaurant scene
https://asia.nikkei.[...]
2020-06-03
[106]
웹사이트
Experiencing Taipei's Authentic Japanese Cuisine
https://topics.amcha[...]
2021-01-21
[107]
웹사이트
Durian ramen to go on sale in south Taiwan
https://www.taiwanne[...]
2023-06-16
[108]
웹사이트
Taipei eatery features giant isopod ramen
https://www.taiwanne[...]
2023-05-23
[109]
웹사이트
'Dream ingredient': alien-like isopod ramen dish made with a 14-legged deep-sea creature goes viral in Taiwan
https://www.scmp.com[...]
2023-05-24
[110]
웹사이트
Crocodile ramen is Taiwan's latest food fad
https://www.cnn.com/[...]
2023-06-30
[111]
웹사이트
Whole, 'uncut, unpeeled' frog ramen on the menu in central Taiwan
https://www.taiwanne[...]
2023-06-13
[112]
웹사이트
Little Burma: Where Great Food Meets Fascinating History
https://topics.amcha[...]
2023-01-18
[113]
웹사이트
In a tense political moment, Taiwanese cuisine tells its own story
https://www.japantim[...]
2022-08-21
[114]
웹사이트
Restaurant with most Michelin stars for Singaporean food... is in Taiwan. Welcome to JL Studio
https://www.scmp.com[...]
2023-08-07
[115]
웹사이트
Taiwanese cuisine reflects nation's historical odyssey
https://taiwantoday.[...]
2011-03-04
[116]
웹사이트
What Makes A Great Chef? Andre Chiang on Cuisine, Growth, And Taiwan's Culinary Beauty
https://www.forbes.c[...]
[117]
논문
Culinary Diplomacy: Breaking Bread to Win Hearts and Minds
http://booksandjourn[...]
[118]
웹사이트
Eight Great Gastrodiplomacy Nations
https://uscpublicdip[...]
2015-07-02
[119]
웹사이트
Taiwan launches 'gastro-diplomacy' drive
https://www.theguard[...]
2010-08-08
[120]
웹사이트
Chefs selected for global six-month cultural tour
https://www.taipeiti[...]
2023-04-21
[121]
뉴스
General Tso's chicken to bento bowls: A food guide to Taiwan politics
https://www.bbc.com/[...]
2024-01-06
[122]
웹사이트
Taiwanese cuisine wows at state banquets
https://www.taipeiti[...]
2024-02-09
[123]
웹사이트
Taiwaneze immigrand spark a golden age fore Chinese food
https://www.nyfoodst[...]
[124]
웹사이트
Taiwanese food is finally having a moment in New York City's crowded restaurant scene
https://www.mic.com/[...]
2018-11-05
[125]
웹사이트
New York City's Taiwanese-Food Boom (It's About Time)
https://www.tastecoo[...]
2018-07-25
[126]
웹사이트
14 Exceptional Taiwanese Restaurants in NYC
https://ny.eater.com[...]
2017-06-22
[127]
뉴스
A New Generation of Chefs Reframes Taiwanese Cuisine in America
https://www.nytimes.[...]
2019-06-11
[128]
웹사이트
The Bay Area's Taiwanese Food Scene Comes Into Its Own
https://www.kqed.org[...]
2021-05-19
[129]
웹사이트
How Today's Taiwanese-American Chefs Rewrote the Rules and Made a New Cuisine
https://www.foodandw[...]
[130]
웹사이트
Taiwanese Food Is Taking Over Union Square — For One Day, Anyway
https://www.kqed.org[...]
2023-05-11
[131]
웹사이트
Tradition and Innovation in America's Taiwanese Cooking
https://www.eater.co[...]
2016-03-03
[132]
웹사이트
Frankie Gaw explores Taiwanese American identity through recipes like Cinnamon Toast Crunch mochi
https://www.today.co[...]
2022-12-06
[133]
웹사이트
This Seattleite's debut cookbook explores what Taiwanese American food looks like
https://www.seattlet[...]
2022-10-26
[134]
웹사이트
New Cookbook First Generation Is A Love Story To Taiwanese-American Cuisine
https://www.tastingt[...]
2022-10-16
[135]
웹사이트
Embracing Taiwanese Cuisine
https://virginialivi[...]
2023-07-29
[136]
웹사이트
Kato Already Has One Michelin Star. Chef Jon Yao Wants More — But Only on His Terms.
https://la.eater.com[...]
2023-07-06
[137]
웹사이트
Culinary exhibition starts in Taipei
https://www.taipeiti[...]
2023-08-05
[138]
웹사이트
Cuisine with unique flavors wow visitors at Taiwan food expo
https://focustaiwan.[...]
2023-08-07
[139]
웹사이트
《台灣菜的文化史:食物消費中的國家體現》 - 台灣醒報 Awakening News Networks
https://anntw.com/ar[...]
2020-07-06
[140]
웹사이트
交通部觀光署-歷史變遷
https://www.taiwan.n[...]
2015-01-14
[141]
웹사이트
Taiwanese Cuisine: A Legacy of Culinary Fusion
https://wildchina.co[...]
2024-12-24
[142]
웹사이트
一開始,台灣人根本不清楚「台菜」是什麼
https://news.readmoo[...]
Readmoo
2024-12-24
[143]
웹사이트
碗公裡的臺灣史──什麼是臺灣菜
https://www.ntl.edu.[...]
國立臺灣圖書館
2024-12-24
[144]
웹사이트
臺文系助理教授陳玉箴 研究臺灣菜百年演進
https://pr.ntnu.edu.[...]
2024-12-24
[145]
웹사이트
正統台菜到底有多講究?一探日治時期誕生「酒家菜」文化,道道都是台灣驕傲-風傳媒
https://www.storm.mg[...]
Storm.mg
2024-12-24
[146]
웹사이트
How Did Taiwan Become an Eaters’ Paradise?—Tsao Ming-chung and Ang Kaim’s History of Taiwanese Food
https://nspp.mofa.go[...]
2024-12-24
[147]
논문
臺灣菜的演進與發展
https://www.airitili[...]
2000-02-01
[148]
문서
下川 pp155-159, p280
[149]
문서
下川 p88, p142, p280
[150]
문서
下川 pp140-142, pp151-154
[151]
문서
下川 p98
[152]
웹사이트
How Taiwanese cuisine reflects a distinct identity
https://english.cw.c[...]
天下雜誌
2024-12-24
[153]
웹사이트
History behind Taiwanese cuisine revealed - Taipei Times
https://www.taipeiti[...]
Taipei Times
2024-12-24
[154]
뉴스
日本に行って困ったこと 「それは台湾料理の味がしないと感じること」=台湾メディア
http://news.searchin[...]
Seachina
2021-06-17
[155]
웹사이트
「現地では食べない」甘いバターチキンカレー、チーズナン、あんこ入りナンまで…日本限定「インド料理」の店が激増した理由
https://bunshun.jp/a[...]
2024-10-01
[156]
웹사이트
超ボリュームで安い、謎の台湾料理屋の主な特徴と、店の正体
https://areablue.jp/[...]
2024-12-05
[157]
논문
台湾料理 -米を中心にして-
日本調理科学会
1988
[158]
웹사이트
台鉄弁当
http://www.railway.g[...]
[159]
웹사이트
台湾の駅弁 台北ナビ
http://www.taipeinav[...]
[160]
서적
老北京的生活
北京出版社
1989
[161]
뉴스
酸梅汤渐行渐远
http://www.szeat.net[...]
深圳飲食网
2015-04-29
[162]
웹사이트
Pick up something Chinese
http://www.chinadail[...]
2008-12-21
[163]
웹사이트
Peking Cuisine: The Food of Emperors
2008-12-21
[164]
웹사이트
Suanmeitang, Cool and Refreshing, Like a Summer Breeze
http://www.btmbeijin[...]
2008-12-21
[165]
웹인용
Hsinchu Meatballs
http://edu.ocac.gov.[...]
OCAC
2021-01-29
[166]
웹인용
Taiwan's Coffin Bread Perfects the Art of the Bread Bowl
https://www.saveur.c[...]
Saveur
2020-01-28
[167]
웹인용
2019 Daxi Dried Tofu Festival Opening Ceremony
https://travel.tycg.[...]
Taoyuan Government
2021-01-29
[168]
웹인용
From chow mein to udon: A beginner's guide to Asia's best noodles
https://www.cnn.com/[...]
CNN
2021-01-29
[169]
웹인용
A-Gei
https://tour.ntpc.go[...]
New Taipei City
2020-09-29
[170]
웹인용
'Buy one and get one free' at Pastry Festival in central Taiwan
https://www.taiwanne[...]
Taiwan News
2021-01-29
[171]
웹인용
Historic pastry shop burns down in central Taiwan
https://www.taiwanne[...]
Taiwan News
2021-01-29
[172]
웹인용
The saucy comforts of Taiwanese turkey rice
https://thetakeout.c[...]
The Takeout
2020-09-29
[173]
웹인용
Taiwan's northern tip: weird nature, wonderful street food
https://www.scmp.com[...]
South China Morning Post
2021-01-29
[174]
서적
Tea: The drink that changed the world
https://archive.org/[...]
Tuttle Publishing
[175]
뉴스
Oyster omelet the nation's favorite
http://www.taipeitim[...]
2007-06-02
[176]
뉴스
In Taiwan, top chefs are building on a long history of culinary exchange with Japan
https://www.japantim[...]
2018-02-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